[서울경제TV] 수도권 소형아파트, 중대형보다 5배 올랐다


[앵커]

지난 2년간 수도권의 소형아파트값과 중대형 아파트값 상승률 격차가 5배 이상 차이가 났습니다. 건설사들이 소형아파트 공급을 늘리고 있고,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제지원도 확대될 예정이어서 소형아파트 인기가 주목됩니다. 정창신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최근 2년간 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소형아파트값 상승률이 중대형아파트값 상승률보다 5배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저금리 기조에 소형아파트로 임대수익을 얻기 쉽고, 매매를 통한 시세차익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됐습니다.

오늘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전용면적 60㎡이하 소형아파트의 매매가는 3.3㎡당 874만원으로 2013년 7월(781만원)과 비교해 11.91% 올랐습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전용 85㎡초과 중대형아파트는 962만원에서 983만원으로 2.18% 오르는데 그쳤습니다. 상승률에서 5배이상 차이가 난 것입니다.

같은 기간동안 서울지역의 소형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9.76%로 나타났습니다. 중대형아파트의 매매가 상승률은 2.94%에 그쳐 3배 이상의 차이가 났습니다.

지방의 경우 소형아파트값과 중대형아파트값 상승률은 각각 12.25%, 11.37%로 나타났습니다. 소형부터 중대형까지 고르게 오른 것입니다.

[인터뷰] 김은진 팀장 /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1,2인가구 증가와 저금리 시대에 임대를 목적으로 한 투자수요가 늘면서 소형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고요. 새로운 평면개발로 공간활용도가 높아진 가운데 실속형 면적을 선호하는 실수요자들의 주택구매 패턴 변화도 한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내년부터는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제지원이 확대되고 최근 소형아파트 공급증가로 소형평형의 인기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지난 6일 정부가 발표한 2015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일반임대의 경우 세제 감면율을 20%에서 30%로 확대했습니다. 임대주택 요건도 기준시가 3억원 이하에서 6억원 이하로 완화했습니다. 종합부동산세 면제와 양도소득세 중과 제외 등의 세금감면 혜택도 줬습니다.

[스탠딩]

소형아파트 공급증가에 임대사업자 세제지원도 확대되는 만큼 소형아파트 인기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울경제TV 정창신입니다.

[영상취재 장태훈 / 영상편집 이한얼]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