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1년-금융] 경영·조직 개혁바람

국제통화기금(IMF)체제 1년만에 대한민국 시중은행들은 모두 정부가 대주주인 국영은행으로 변해버렸다. 퇴출은행 인수, 합병 등의 과정에서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 출자지원을 하는 바람에 일부 지방은행을 제외한 모든 시중은행이 국영은행이 되어버린 것이다.IMF체제는 우리 사회에서 가장 안정된 조직중 하나로 꼽히던 금융계를 뒤흔들어 놓았다. 이제 「서구식 경영」과 「선진금융기법」이라는 방패막이 없이는 살아갈 수조차 없게 되어버린 국내 금융기관들은 불과 1년전만 해도 상상할 수조차 없던 모습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그동안의 부실경영의 책임을 지고 가장 먼저 수술대에 오른 것은 경영진. 외환은행에서는 이사회를 영어로 진행하고 있다. 대주주가 된 독일 코메르츠은행에서 나온 외국인 전무와 상무때문. 조건부승인을 받은 7개 은행도 감사를 외부 인사로 교체하고 60%에 달하는 임원을 물갈이하는 등 기존 경영진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을 벌였다. 조건부승인은행의 경우 지난해 임원 명단중에서 현 임원 이름을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도. 종금사와 보험업계 등 다른 금융기관도 비슷한 사정이다. 「책임경영」이 주요 과제로 떠오르면서 경영진에 대한 보수체계도 급변, 급기야 월급이 1원에 불과한 은행장마저 등장했다. 김정태(金正泰) 주택은행장은 취임 후 급여를 1원만 받는 대신, 은행 주가를 얼마나 올려 놓느냐에 따라 수십억원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스톡옵션을 실시키로 했다. 경영 성과에 따라 철저하게 보수를 차등화하는 서구식 체계가 도입된 결과다.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겪으면서 조직도 대폭 축소됐다. 은행 본부가 5~6개의 사업부제로 축소·개편되는 것을 비롯해 수백개 은행 점포가 문을 닫았다. 선발은행의 경우 연내에만 50개가 넘는 지점을 폐쇄하고 있다. 방만하게 운영되던 자회사들도 본점에 흡수합병되거나 청산절차를 밟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정리되고 있다. 한편 과거 기관장을 포함해 극소수의 임원을 통해서만 이뤄지던 내부 의사결정도 다수 의견을 수렴하는 시스템으로 변모했다. 지난 2월 상임이사로만 구성되는 상임이사회를 폐지, 주요직의 부장급 간부들이 참여하는 상임위원회 제도를 도입한 한미은행이 대표적인 사례. 신한은행, 한빛은행(상업-한일은행) 등도 비상임이사를 주축으로 한 분야별 이사회에서 주요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경영체제를 바꿀 예정이다. 특히 여신 결정에 있어서는 금융권 전반에 있어서 기관장의 전결권한이 사라지고 전문 심사역 등에게 주어지는 권한이 확대되고 있다. 각 은행은 앞다퉈 여신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여신심사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여신전문화에 나서고 있다. 일부 종금사도 과거 사장 전결로 여신결정을 내리던데서 최근엔 담당 임원과 실무담당자의 만장일치제를 채택해 보다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고있다. 이밖에 은행들은 한 지점에서 모든 여·수신업무를 다루던 백화점식 지점경영에서 벗어나 지점 특성에 따라 가계금융과 기업금융 등 업무를 구분하는 허브 앤드 스포크(HUB & SPOKE)제도를 도입했다. IMF 이후 사회 전반을 휩쓸고 간 「전문화」 바람은 이제 동네의 은행 점포에까지 불기 시작한 것이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