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매각, PEF가 대안되나

부산銀등 재무적 투자자 참여에 금기시하던 시각에 변화 기류
속타는 당국 "무산시킬 명분없다", 입찰 마감 앞둔 매각절차 그대로 유지


금융 당국이 금융지주회사와의 짝짓기에 실패한 채 사모펀드(PEF)만이 인수 의욕을 드러냈지만 실상 지금까지 펀드에 실제로 팔릴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높지 않았다. 여당 일각에서는 국민주 방식이 대안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그런데 상황에 조금씩 변화의 기운이 엿보인다. 입찰에 참여한 MBK파트너스ㆍ보고펀드ㆍ티스톤파트너스 등 3개 PEF가 재무적 투자자로 부산ㆍ대구 등 지방은행을 끌어들이고 여기에 미국과 중국 등 해외 자본을 잇따라 끌어들이면서 실제 인수자가 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PEF 정말 대안되나=정부가 세운 민영화의 3대 원칙은 ▦빠른 민영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국내 금융산업 발전이다. PEF로의 매각은 빠른 민영화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만족시킨다. 금융산업 발전은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국민들 사이에서는 론스타ㆍ뉴브리지 등 투기자본에 워낙 질식됐던 터라 PEF라는 단어 자체에 부정적이다. 하지만 금융권 일각에서는 다른 목소리도 비친다. PEF를 무조건적으로 금기시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이른바 '단계적 매각론'으로 토종펀드와 국내 지방은행 등이 엮인 컨소시엄에 일차적으로 넘긴 뒤 대형 지주회사들의 여건이 갖춰졌을 때 2단계 매각을 하는 것도 방법이라는 뜻이다. 대신 PEF가 단기수익 추구에 매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 즉 투자자공개, 배당계획, 예정 보유기간 등을 요구해 강도 높은 심사를 벌이도록 하면 된다는 얘기다. 더욱이 국책연구원인 금융연구원이 PEF의 우리금융 인수를 놓고 토론회를 연 것 자체가 예사롭지 않다. 통상 금융연구원이 주최한 행사는 당국의 '허락' 아래 진행되는 것이 많은 탓이다. 이런 기류를 눈치 챈 것일까. PEF에 대한 국내외 투자자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일찌감치 MBK와 손을 잡았다. 우리금융 산하의 지방은행인 경남은행 인수에 관심을 갖고 있는 부산은행과 대구은행도 사모펀드에 재무적 투자자로 참여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해외투자가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당초 인수자금의 30%가량을 해외에서 조달하겠다고 밝힌 티스톤은 중국ㆍ미국 등 해외투자가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속타는 금융 당국=당국은 PEF로의 매각이 내키지는 않지만 공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딜인 만큼 명분 없이 무산시키기도 어렵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27일 "우리금융 매각절차가 진행 중이니 좀 더 두고 보자"라며 "(국민주 방식에 대해서) 홍준표 대표와 논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민영화 방식에 당분간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입장으로 다음달 17일 예비입찰 마감을 앞둔 매각절차를 유지하겠다는 뜻이다. 또 다른 금융 당국의 한 관계자도 "국민적 우려를 고려해 까다로운 입찰조건을 제시하고 있지만 PEF가 모두 충족시키면 어쩔 수 없는 것 아니겠느냐"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