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내년 상반기까지 현대그룹에서 분리되기 위해서는 정몽구 회장 등 특수 관계인들이 최소 3,600억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 현대차의 지분을 추가로 사들여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박세용 현대 구조조정 위원장은 최근 『현대자동차를 당초 내년 말 계열분리키로 했으나 일정을 내년 상반기로 6개월 앞당기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막상 내년 상반기까지 현대자동차의 계열분리가 이뤄질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현대자동차 내부에서 조차 회의적인 시각이 많은 상황이다.
계열분리를 위해서는 계열사 지분정리와 상호지급보증 해소가 관건이다.
현대차의 지난 6월 말 현재 지분구조를 보면 최대 주주인 현대중공업이 1,141만7,000주(보통주 기준, 10.54%)· 현대정공이 722만주(6.67%)· 현대건설이 438만주(4.04%)를 가지고 있다. 또 개인으로는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이 475만주(4.39%)로 가장 많고 정주영 현대 명예회장이 16만주를 보유하고 있다.
계열분리를 위해서는 현대중공업· 현대건설 및 정주영 명예회장 등이 보유하고 있는 현대자동차 지분이 3% 이하여야 한다. 정몽구 회장 계열로 분류되고 있는 현대정공의 경우 현대자동차와 함께 현대그룹에서 계열분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대중공업· 현대건설· 정주영 명예회장 등이 보유하고 있는 현대차 주식 중 3%를 초과하는 1,200여만주(11.5%) 정도를 매각해야만 계열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문제는 현대자동차 및 정몽구 회장 계열회사들이 현대중공업이나 현대건설의 주식을 거의 갖고 있지 않다는 점. 결국 정몽구 회장이 현대자동차의 경영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대중공업· 현대건설 등이 보유한 현대차 주식을 매입해야 한다는 결론이다.
현재 현대자동차 주가가 주당 3만원 수준에 이르는 점을 감안할 때 내년 상반기까지 현대자동차의 계열분리를 실현하려면 정몽구 회장 등이 최소한 3,600억원 규모의 주식 매입자금을 투입해야 한다는 계산이다.
상호지급보증 해소도 계열분리 요건 중 하나.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의 계열사 상호지급보증 액수가 다른 계열사보다 상대적으로 적어 상호지보 해소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계열사에서 지급보증한 차입금을 모두 갚거나 현대차가 자기 신용으로 다시 빌리려면 비용이 올라가 결국 자금 부담만 늘어나는 꼴이 돼 간단하게 결정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1년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업계에서는 관측하고 있다.
기획조정실 이준원 이사는 『구조조정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기 위해 일정을 앞당기기로 했다』며 『상당한 자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담이 적지않다』고 말했다. /연성주 기자 SJYON@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