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지표 둔화·지정학적 악재에 급락

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글로벌 경제 지표 부진에다 지정학적 악재까지 겹치면서 1%대의 급락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38.19포인트(1.40%) 떨어진 1만6,804.71에 마감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도 26.13포인트(1.32%) 내린 1,946.16을 기록했고 나스닥 종합지수 역시 71.30포인트(1.59%) 하락한 4,422.09로 장을 마쳤다.

이날 뉴욕 증시 하락은 미국 등 글로벌 경제 지표가 둔화된 데다 홍콩 민주화 시위, 우크라이나 위기, 시리아 극단주의 이슬람 단체인 ‘이슬람국가’(IS) 우려 등의 지정학적 사태, 미국 에볼라 환자 발생에 대한 투자가들의 경계감이 지속됐기 때문이다.

이날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는 전반적으로 부진했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6.6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달(59.0)과 시장 예상치(58.5)를 밑도는 것이다. 이 때문에 미국 주요 기업들의 3·4분기 실적 둔화 우려가 커졌다. 시장조사업체인 마킷이 발표한 미국의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최종치도 57.5로 시장 예상치인 58을 하회했다.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8월 민간 및 공공 건설 프로젝트 지출도 전달보다 0.8% 감소했다. 역시 전망치인 0.4% 증가를 밑도는 것이다.

다만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은 이날 9월 미국의 민간 신규 고용자 수가 21만3,000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전망치인 20만명을 웃도는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민간 고용 지표 호조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조기 인상 불안감만 키우면서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로존의 제조업 지표도 부진했다. 이날 마킷은 9월 유로존 제조업 PMI 최종치가 50.3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7월 이후 최저치로 잠정치(50.5)와 6월 수치(50.7)를 모두 밑도는 것이다.

아울러 홍콩에서 6일째 이어진 민주화 시위 여파로 중국 성장 둔화 우려감이 커졌다. 또 미국에서 첫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환자 발생으로 항공 여행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사우스웨스트항공, 델타항공 등 항공주의 낙폭이 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