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의 큰 손들이 올 들어 한국 채권 매입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국 채권 투매 기조와는 달리 펀더멘털이 우수한 국가로는 국제 자금의 배분 규모가 더욱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는 26일 월가의 주요 기관 투자자들이 신흥국 자산을 투매하는 와중에도 한국물은 6개월째 사들여 기관의 상반기 한국채 보유 규모가 115억 달러 늘었다고 집계했다.
반면 신흥국 전체에서 기관들은 지난 5월 말 이후 440억 달러를 유출했다.
블룸버그는 “세계 최대 채권펀드를 운용하는 핌코와 매뉴라이프 애셋 매니지먼트의 아시아 펀드, 슈뢰더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등이 한국 자산을 집중 매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들 중 특히 매뉴라이프 펀드는 포트폴리오 중 한국 국채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는 “높지 않은 인플레와 자금 유입 추세로 한국의 채권 수익률은 더 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채권 수익률이 하락하면 반대로 가는 채권 가치는 그만큼 뛴다.
블룸버그에 의하면 2년 만기 한국 국채 수익률은 올 들어 1베이시스포인트(1bp=0.01%) 상승하는 데 그쳐 같은 기간 인도네시아 국채 수익률이 338bp나 상승한 것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한국 10년 물도 지난 4월 이후 95bp 상승, 지난 5월 1일 이후 132bp 상승한 미 국채보다 양호함을 드러내고 있다.
핌코의 신흥시장 포트폴리오 관리 공동 책임자 라민 톨루이는 지난주 “투자자들이 일부 신흥시장에 관심이 있고 특히 한국이 그렇다”며 “한국은 시장 규모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여신의 질 등이 양호하다”고 평했다. 매뉴라이프의 홍콩 소재 닐 카페치 채권 부문 대표는 블룸버그에 “한국 채권시장은 선진국처럼 움직인다. 한국의 경제 펀더멘털은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슈뢰더의 싱가포르 소재 아시아 채권 투자 책임자 라지브 데 멜로도 블룸버그에 미국과 중국 등의 회생 조짐을 지적하면서 “한국이 혜택을 볼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에 따르면 한국 채권시장은 지난 6월 말 현재 1조 4,000억달러 규모로 아시아 3위이며, 유동성 비율은 지난 3월 기준 1.09로 일본(10.6)에 이은 아시아 2위다.
블룸버그는 “한국은 530억 달러의 경상흑자를 기록하고 인플레는 목표치인 2.5∼3.5%를 크게 밑도는 1.7% 수준”이라며 “원화 가치도 1년 저점인 지난 6월 25일에 비해 4.1% 상승해 ‘환위기’국면의 신흥국들과 차별화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