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김무성 카드로 인적쇄신 갈등 봉합 시도… 해결책 될까…미봉책 그칠까…

선대본부장 중용 가능성
김종인·이상돈과 융합 관건
非朴 "비상체제 전환해야"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당내 인적쇄신 갈등의 봉합을 위해 '김무성' 카드를 내놓았다. 비박계를 끌어안을 수 있는 인물을 내세웠지만 인적쇄신 요구에 대한 해답이 될지는 의문이다.

박 후보는 9일 당 정치쇄신특별위원회 주최로 열린 '국민대통합을 위한 정치쇄신 심포지엄'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김무성 전 원내대표는) 앞으로 선거대책위원회에서 중책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무성 역할론'은 전날 박 후보가 참석한 선거대책위원회 의장단 긴급회동에서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원내대표가 선대위에 들어올 경우 총괄선대본부장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

김 전 원내대표는 과거 '친박계 좌장'으로 불렸지만 세종시 수정안 논란이 일었던 당시 박 후보와의 관계가 멀어졌다. 당내에서는 친박부터 비박까지 고루 포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인물 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는다. 한 비박계 의원은 "박 후보의 인식이 변화했음을 보여준다"며 긍정적인 의사를 밝혔다.

다만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이상돈 정치쇄신특별위원과의 융합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위원은 이날 오전 라디오 방송에서 "문제의 본질은 아니지만 김 전 원내대표는 과거에 설화ㆍ말실수가 많았다"며 비판했다. 친박계 일각에서도 "2년 전 원내대표를 할 당시 문제가 많았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제기했다.

박 후보가 '김무성 역할론' 외에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카드를 제시하지 않을 경우 '미완의 봉합'으로 남을 가능성도 높은 것을 보인다.

당장 '김종인ㆍ이한구' '안대희ㆍ한광옥' 사이의 대립구도 해결이 숙제다. 박 후보는 이날 "국민이 볼 때 쇄신하는 사람, 통합하는 사람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두 가지는 같이 가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모든 인사를 끌고 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지도부 2선 후퇴 요구와 관련해서도 최근 최경환 전 비서실장의 사퇴와 김 전 원내대표 중용 등이 맞물리며 퇴진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비박계 의원은 "당 지도부, 선대위를 뛰어 넘는 비상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며 "김 전 원내대표만 들이는 것은 1차 수습책은 되겠지만 과연 그것으로 모든 것이 해결될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한 초선 의원도 "당 중심부에서 이런 갈등이 계속 일어나면 어쩌나"라며 "초선 의원들도 따로 모임을 가져야 한다는 얘기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