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이른 무더위로 전력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이달 초부터 예비전력이 위험 수준인 400만kW에 근접한 400~500만kW 수준으로 내려왔기 때문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주요 원자력발전소의 정비 일정이 연장되면서 가동이 지연되고 있다. 정부는 백화점ㆍ마트 등의 냉방 수요를 최대한 억제하고 발전소 예방정비기간을 늦추는 등의 긴급 대책을 꺼내들었지만 불안한 전기 공급 상황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산업용 전기요금이 다른 나라보다 낮다"고 밝혀 조만간 산업용 전기요금이 오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지식경제부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기온이 최대 10도까지 높은 초여름 날씨가 지속되면서 전력 수요가 200~400만kW 증가한 만큼 전기 수급대책을 조기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지경부는 고리 1호기(60만kW), 울진 4호기(100만kW), 신월성 1호기(100만kW) 등이 일본 원전사고 이후 안전기준이 강화되고 정비기간이 늘어나면서 현재 가동이 안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기를 쓰는 곳은 많은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것이다. 지난해 5월 예비전력은 1,000만kW대를 기록했지만 지난 2일에는 422만kW에 불과했다. 예비전력이 400만kW 이하로 떨어지면 전압 조정 등 비상조치를 실시하게 된다.
정부는 백화점ㆍ마트ㆍ커피전문점ㆍ은행 등에 출입문을 개방한 채 냉방기기를 가동하지 않도록 요청하기로 했다. 아울러 쿨비즈 복장 착용, 영업장별 적정온도(26도 이상) 유지를 당부할 예정이다.
또 원전을 제외한 발전소 9대의 예방정비기간을 5~6월에서 9~10월로 늦춰 100~200만kW를 확보하고 기업체가 보유한 자가용 발전기를 최대 가동시켜 예비전력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7월 말과 8월 초에 집중돼 있는 휴가 일정도 8월 3~4주로 분산해 전기 수요를 최대한 줄인다는 전략이다.
이런 조치에도 전기 수요가 계속되면 강제조치 여부를 검토할 생각이다.
그러나 살얼음판을 걷는 상황이 언제까지 계속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특히 발전소 정비기간을 늦추는 데 따른 고장 가능성도 제기된다. 수요 관리의 주요 대안인 전기요금 인상에 대해 조 차관은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나 서민부담, 전력 수급 등을 고려해 요금 조정 여부, 조정률 등에 대해 검토하겠다"며 "아직도 국내 산업용 요금이 다른 경쟁국들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라고 해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조 차관은 이어 "산업계의 자발적인 전기절약이 없었다면 최근의 실제 예비전력은 200~300만kW 수준이었을 것"이라며 "피크타임 때 500만kW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관련 대책을 펴나가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