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트 체인지 코리아] "2030년 이전 통일된다"

전문가 10명중 7명 응답 "北 흡수통일 방식이 유력"

통일전문가 10명 중 7명이 통일한국이 실현되는 시점을 오는 2030년 이전으로 꼽았다. 또 이들 전문가 중 절반 정도는 독일식 또는 그와 비슷한 형태의 흡수형 통일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경제신문이 창간 50돌을 맞아 24일 통일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통일한국의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통일의 시기를 전망한다면'이라는 물음에 전문가 7명이 '2030년 이내'라고 답했고 2명은 '2050년 이내'라고 응답했다. 한 명만이 '앞으로 10년 이내에 통일이 될 것'이라고 했다. 상당수 전문가들이 앞으로 최소 20년 동안은 통일의 과정을 밟을 것으로 본 셈이다. 이는 최근 천안함 사태를 계기로 한 남북관계 악화와 북핵 문제 등 안보적 위기로 직면해 있는 현안들이 당장 풀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통일방식의 경우 이들은 흡수형 통일이 가장 유력하다고 봤다. 이는 남북 간 경제격차와 안보적 상황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돼 북한이 남한으로 흡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즉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획기적 변화가 없을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남북 간 경제격차는 벌어질 것이며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북한이 남한에 기대는 형식의 통일이 유력하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방법론의 경우 남북 간 완전 합의에 따른 합의형 통일이 이뤄질 것이라고 답한 이와 완전한 통일 이전의 평화 공존형 방식이 될 것이라 본 이들, 그리고 급변사태에 따른 통일이 이뤄질 것이라고 본 이들로 의견이 갈려 다양한 의견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반도와 동북아 정세에 변수가 너무 많아 통일방식을 섣불리 예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제정세와 정부의 대북정책, 그리고 북한의 권력세습 양상과 경제난 타개 상황에 따라 통일방식이 결정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이들은 통일을 이루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들로 ▦일관된 통일정책 ▦내부 통일역량 강화 ▦남북 간 이질감 해소 ▦적극적 통일외교 등을 꼽았다. 또 정부의 일관된 대북정책을 바탕으로 내부적으로 통일교육 등으로 후유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동시에 남북 간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주변국을 상대로 한 전략적 외교정책 구사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또 통일한국의 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정세를 이끄는 주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봤다. 무엇보다 통일한국의 경제 규모가 세계 7위권에 이르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대륙국가로 변모할 것이라는 전망이 주를 이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