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 관훈토론회, "임시국회 열자" VS "요구 수용부터"

이강래 "盧서거 정치보복 때문…MB 사과를"
안상수 "동의 못해… 근거없는 공세 말아야"
6월 국회개회·비정규직 대책등도 '날선 공방'

안상수(오른쪽) 한나라당 원내대표와 이강래 민주당 원내대표가 9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여야 원내대표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토론을 마친 뒤 악수하고 있다. /최종욱기자

여야 원내대표가 9일 한자리에서 만나 국회 개원 등 주요 정국현안에 대해 첨예하게 대립했다. 안상수 한나라당, 이강래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중견언론인모임) 초청 토론회에 참석, ▦6월 국회 개원 ▦비정규직 대책 ▦검찰 '표적수사' ▦한반도 위기상황 해법 등을 놓고 사사건건 입장을 달리하며 격론을 벌였다. 다만 제왕적 대통령제 폐해를 막기 위한 개헌의 필요성에는 공감했다. 여야 원내대표가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자리를 함께해 토론을 벌인 경우는 처음이다. ◇6월 국회 개회=안 원내대표는 6월 임시국회의 조속한 개회를, 이 원내대표는 '선(先) 요구 수용, 후(後) 국회 개회'를 각각 주장했다. 안 원내대표는 "임시국회는 6월에 반드시 열리도록 법에 규정돼 있다"며 "조문 정국을 정략적으로 이용하려는 것은 잘못된 것으로 따질 게 있으면 국회에서 따져야 한다"며 민주당의 등원을 주문했다. 이에 이 원내대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찰수사를 받던 중 서거한 것과 관련한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 등 민주당 요구에 대해 "국회를 열기 위한 전제조건이 아니라 상식이자 관행"이라며 "한나라당이 야당이라면 우리보다 훨씬 많은 것을 요구할 것"이라고 맞섰다. ◇비정규직 대책=한나라당이 전날 비정규직의 사용 기간을 2년으로 규정한 현행 비정규직법을 유지하되 해당 조항의 적용시기를 유예하기로 한 데 대해 민주당은 '미봉책'이라며 적극적인 지원책을 요구했다. 안 원내대표는 "회사가 살아야 비정규직도 일할 데가 있다"며 "2년 내지 4년 유예해서 경제사정이 좋아지면 더 많은 사람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반면 이 원내대표는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 중) 1년에 1조2,000억원만 써도 20만명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수 있다"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주장했다. ◇검찰 '표적수사'=민주당이 노 전 대통령 서거에 대한 이 대통령 사과 등을 6월 국회 개회의 선결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는 만큼 이 원내대표가 먼저 포문을 열었다. 이 원내대표는 모두발언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의 비극적 서거는 정치보복에 의한 억울한 죽음"이라고 규정하고 이 대통령의 사과, 책임자 처벌, 국회 국정조사 및 특별검사 도입, 검찰 개혁을 위한 특위 구성 등을 요구했다. 이에 안 원내대표는 "참으로 비극적이고 가슴 아프며 거기에는 이명박 정부에 대한 여러 가지 실망이 함께 들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정치보복이라는 말에는 동의할 수 없다. 근거 없는 공세를 삼가달라"고 응수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