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 출하기인데… 주문 취소만 쏟아져요"

■ 메르스 직격탄 맞은 소상공인
평택 농가 체험학습 발길 끊기고 생산공장엔 환자 있느냐 묻기도
"진정될때까진 물건 받기 어렵다"… 발생지역 영세상인 피해 눈덩이
"맞춤형 긴급 자금·인력 지원 등 경영 정상화 위해 선제 대응해야"


경기도 평택에서 블루베리를 재배하는 신영블루베리의 이한영 대표는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로 상품 주문과 체험 학습 예약 취소가 잇따르면서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 대표는 "몇 억씩 투자해서 비닐하우스를 운영하고 있는데 한창 출하 시기인 5~6월 메르스 직격탄을 맞아 지금까지 손해액이 5,000만원에 달하고 있다"면서 "예년에는 유치원이나 학교를 대상으로 한 체험학습 프로그램 수입이 적지 않았는데 메르스 여파로 프로그램이 일괄 취소된 데다 블루베리 제품 주문도 끊기다시피 해 어떻게 이 상황을 해결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호소했다.

최근 메르스 사태로 소상공인과 영세중소기업의 피해가 가시화되면서 소상공인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평택 등 메르스 발생 지역 생산 제품에 대한 주문 취소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음식점 마저 손님들의 발길이 뜸해지고 있다. 최근 중소기업청의 조사 결과 국내 중소기업 2곳 중 한 곳은 "메르스 영향이 세월호 때보다 크다"는 반응을 보였고 10곳 중 7곳(72%)은 "메르스로 체감경기가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현상은 실제 생산·유통 현장에서 더 두드러진다. 경기도 평택에서 생활용품을 제조하는 A사는 메르스 사태로 유통업체 납품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이 회사 김성식 대표는 "메르스 진원지에 자리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유통업체에서 메르스 환자가 있냐고 물어보는 것은 물론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제품을 공급 받기 어렵다는 통보를 들었다"며 "더욱 우려되는 것은 메르스 사태가 종결된 후에도 메르스 진원지라는 '주홍 글씨' 때문에 고객들이 잇따라 이탈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사정은 수련시설도 마찬가지다. 대규모 청소년 수련시설 55개가 가입된 한국청소년사회교육시설업협동조합은 지난 15일 현재 누계 피해 예상액이 200억원에 달하고 있다. 오기철 조합 전무는 "7월 초에 메르스 종결을 선언한다고 해도 예상 피해액은 1,006억원으로 추정된다"면서 "지난해 세월호 이후 교육부와 교육청이 수학여행 막으면서 입은 피해규모가 연간 3,000억원이고 42곳이 문을 닫고 5,000~6,000명이 일자리를 잃었는데 올해 메르스 사태가 터지면서 그나마 회복 기미를 보이던 업계 상황이 다시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준인 한국편의점협의회 회장은 "메르스 여파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고객이 20% 정도가 빠진 상황"이라며 "편의점은 그나마 다른 서비스 업종에 비해는 피해가 덜 하다고는 하지만 여름철임에도 파라솔에서 술마시는 고객 등이 눈에 띄게 줄어드는 등 외부 출입을 자제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처럼 체감 경기가 눈에 띄게 나빠지면서 '메르스 불황'으로 이어질 조짐을 보이자 중소기업연구원은 이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진철 중기연구원 연구원은 "메르스 사태로 인한 소상공인과 영세 중소기업의 피해가 지속되면서 경기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만큼 선제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를 위한 실천 방안으로 △사업자 신뢰 회복 △맞춤형 피해 지원 △인력 지원 △수출 지원 등을 주문했다. 소비자의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사업장 내 방역제품 비치, 사용에 대한 교육과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중소기업 위기대처 매뉴얼을 개발, 배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메르스 피해가 예상되는 소상공인에 대한 맞춤형 긴급 자금과 경영지원 등에 나서는 한편 메르스 사태 장기화로 인력 손실이 우려되는 피해 중소기업에 대한 긴급 인력 공급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