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12월 24일] 자동차 위기 극복에 노사정 힘 모아야

자동차 업계가 경기침체의 늪 속으로 점점 더 깊이 빠져들고 있다. 내수ㆍ수출이 모두 급감하면서 감산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자금난에 따른 임금체불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현대ㆍ기아자동차는 과장급 이상 관리직의 임금동결과 함께 아산공장과 전주공장의 정규근무 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등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이미 특근ㆍ잔업을 없앤 데 이어 정규근무 시간까지 단축하고 나선 것이다. 쌍용차는 12월분 급여 지급불능 상태에 빠졌고 르노삼성과 GM대우는 각각 이달 말과 내년 초까지 한시적으로 가동을 전면 중단한다. 자동차 업계의 경영난은 단순히 자동차 업계만의 위기로 끝나지 않는다. 자동차 산업은 2만여개의 부품과 소재가 소요되는 데서도 알 수 있듯 그 어느 산업보다 고용창출 및 전후방 산업 파급효과가 크다. 당연히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다. 국내 자동차 산업도 종사자가 120만여명에 달하는 최대 고용업종이다. 완성차 업체의 경영난은 소재ㆍ부품 등 협력업체로 이어져 실물경제에 엄청난 충격을 주기 마련이다. 미국 정부의 빅3 구제금융이나 유럽ㆍ일본의 자국업체 지원 움직임도 이 때문이다. 자동차 업계에는 지금 1월 대란설이 나돌고 있다. 완성차 업체의 감산과 자금난이 가중되면서 협력업체들이 줄줄이 쓰러지고 실업자가 양산된다는 것이다. 이런 최악의 상황을 막으려면 노사정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부품업체들에 대한 보증지원 확대 등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노사는 원가절감과 고용유지 등에 한층 더 노력해야 한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노동계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근무시간을 단축하고 임금을 동결ㆍ삭감하더라도 다같이 일자리를 유지하는 것이 감원보다는 훨씬 낫다. 그런 점에서 민주노총 금속노조의 일자리 나누기 제안은 평가할 만하다. 세계자동차시장은 지금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세계 최고의 경쟁력으로 지난해 20조원 넘는 이익을 냈던 일본 도요타도 2조원의 적자로 돌아서 감산ㆍ감원에 나섰을 정도다. 세계자동차 업계의 지각변동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지금의 위기를 견뎌내야 자동차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