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 국제핵융합실험로 핵심장치 수주

진공용기 1500억원 규모

현대중공업이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의 핵심장치인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를 제작한다. 현대중공업은 15일 대전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국가핵융합연구소(NFRI)에서 이경수 NFRI 소장, 이종삼 현대중공업 전무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ITER 진공용기 본체 및 포트 제작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은 오는 2016년 12월 말까지 향후 7년 동안 ITER 진공용기 본체의 9개 섹터 중 2개 섹터와 전체 53세트의 포트 가운데 35세트를 제작, 납품하게 된다. 납품규모는 1,500억원에 달한다. ITER 사업이란 한국•미국•유럽연합(EU)•일본•중국•러시아•인도 등 7개국이 핵융합에너지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해 공동으로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에 초대형 핵융합실험로를 건설, 연구하는 사업으로 2040년까지 총 112억유로(14조원)가 투입될 예정이다. 이 결과에 따라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장치를 이용한 전기 생산이 가능한지 판가름 나게 된다. 현대중공업이 수주한 진공용기는 ITER 건설의 핵심 부품이다. 진공용기의 각 섹터는 높이 12m, 무게 400톤에 달하며 초저온과 초고온•진공압력 등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초정밀 용접기술이 필요하다. 현대중공업은 2007년 인공태양의 상용화를 목표로 한 한국형 핵융합연구장치(KSTAR) 개발에서 주장치의 구조 설계, 섭씨 1억도를 견뎌내야 하는 대형 초고진공용기 및 극저온용기를 제작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