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TV][투데이포커스] 늘어나는 가계부채, 현황은


[앵커]

앞서 살펴보셨듯이 우리 국민들의 부채 부담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좀 더 자세한 가계 상황, 조주희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앵커]

현재 가계의 부채 부담, 어떤 상황인가요?


[기자]

올해 3월 말까지 가구당 평균 부채는 6,181만원입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 늘어난 겁니다.

가계부채 위험성의 척도인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비율도 지난해 20.3%에서 24.2%로 높아졌습니다.

가계가 100만원을 번다면 반드시 지출해야 하는 세금·건강보험료 등을 빼고

남은 소득 중 4분의 1인 25만 원가량을 대출 상환이나 이자로 쓰고 있단 뜻입니다.


이에 따라 가계에서 느끼는 빚 부담도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금융 부채가 있는 열가구 중 일곱 가구가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했습니다.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도 지난해 6.9%에서 7.1%로 늘었습니다.

특히 60세 이상 가구주의 부채 증가 폭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컸습니다.

60세 이상 가구주의 부채는 지난해 4,400만원에서 올해 약 4,700만원으로 늘었는데요,

반면 30대미만 가구의 부채 증가율은 작년 5.7%에서 올해 1.7%로 크게 축소됐습니다.

30대 가구도 7.5%에서 1.3%로 줄었습니다.


[앵커]

노년층의 부채 문제가 심각해 보이는데 가계들의 대비는 잘 되고 있는 건가요?


[기자]

그 부분이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번 조사 결과 노후생활에 대한 불안감은 오히려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 중 노후 준비가 잘 되고 있지 않단 부정적 응답은 55.2%로 작년보다 1.8% 포인트 늘었습니다.


반면 노후 준비가 잘돼있단 응답은 7.4%로 1년 전보다 0.2% 포인트 줄었고, ‘아주 잘 돼 있다’도 1.4%로 0.2% 포인트 내려갔습니다.

가구주가 은퇴한 경우 생활비 마련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례도 60%를 넘었습니다.


또 열 명 중 네 명은 생활비 충당에 대해 ‘부족하다’고 응답했고, 열 명중 두 명은 ‘매우 부족하다’고 답했습니다.

가정의 금융투자에서 노후대책의 비중도 커지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금융자산 투자의 주된 목적에 대해서는 노후 대책이 54%로 가장 많았습니다.


[앵커]

그래도 소득분배 불평등은 다소 개선된 부분이 있다면서요?


[기자]

네 소득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뜻하는 지니계수는 약간 낮아진 모습을 보였습니다.

순자산을 기준으로 산출한 ‘순자산 지니계수’는 0.592로 지난해 0.594보다 약간 떨어졌습니다.

지니계수는 0~1 사이 값을 갖는데 0에 가까울수록 한 사회의 소득이 균등하게 분배됐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가계 소득의 경우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소득은 1억900여 만원에 달했지만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소득은 860만원에 불과했습니다.

5분위 가구의 소득은 1년새 1.8% 늘었지만 1분위 가구는 4.2% 늘었기 때문에

저소득층의 순자산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지만, 실제 격차는 더 벌어진 셈입니다.


[앵커]

지역별로도 소득이 다르게 나타난다면서요?


[기자]

작년 가구당 소득 평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으로 나타났습니다.

울산의 가구소득 평균은 5,962만원으로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

다음으로 서울 5,200여 만원, 경기 5,000여 만원 순이었습니다.

가구소득 평균이 전국 평균인 4,700여 만원보다 훨씬 못 미치는 가구소득 최하위 지역은

약 4,000만원인 제주도가 꼽혔습니다.

전북, 전남도 가계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입니다.

한편 가구별 부채가 가장 많은 서울입니다.

올 3월 기준 전체가구 평균 부채가 약 6,000만원으로 조사된 가운데

서울 가구 평균 부채는 9300여 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영상편집 김지현]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