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급 核대피시설 전국 23곳뿐

그나마 대부분 행정기관용…서울엔 단 한곳도 없어
市 신축청사내 확보방침


북한의 핵공격 위협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비태세는 극히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핵무기 공격을 피할 수 있는 1등급 비상대피시설이 전국적으로 23곳에 불과할 뿐 아니라 인구밀집지역인 서울에는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소방방재청이 13일 국회 행정자치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핵공격과 이로부터 발생하는 낙진과 방사능 등 2차 피해를 피할 수 있는 1등급 대피시설은 전국적으로 23곳에 총 6,226평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1평에 4명을 수용한다고 봤을 때 전체 인구 4,849만7,000명 중 0.05%에 불과한 2만4,904명만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더구나 이들 시설 대부분이 비상시 ‘충무계획’에 따라 행정기관 등의 대피처로 사용하도록 돼 있어 민간인이 핵공격을 피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곳은 사실상 없는 셈이다. 지역별로는 부산에 4곳, 충북과 전북에 각 3곳씩이 있고 광주와 대전ㆍ경기ㆍ전남에 각각 2곳, 대구ㆍ울산ㆍ충남ㆍ경북ㆍ경남에 각 1곳이 있다. 그러나 규모는 크지 않아 충북 충주시청에 있는 대피소가 170여평으로 최대 600명가량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방방재청은 유사시 북한의 핵공격에 대비, 대피할 수 있는 비상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에 곧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재청의 한 관계자는 “지금까지 핵무기에 대한 대비태세가 매우 미흡했으나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한 만큼 이제부터라도 이에 대비할 수 있는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도 핵공격에 대비한 자체 대피시설을 확보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인정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아직 관련 예산이 확보되지 않아 핵무기 및 화생방 무기 방호가 가능한 지하대피시설을 마련하지 못했지만 신축하는 서울시청 청사에는 반드시 관련 시설을 확보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소방방재청은 오는 12월로 예정된 대피시설에 대한 정기검사를 앞당겨 전국에 있는 방공호, 지하철 역사, 지하주차장 등 2만9,260곳에 대한 실태점검에도 곧 착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