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선 가스 발전 비중 석탄 넘어서 韓, 여전히 값싼 전력 공급에만 치중
신재생에너지 비중확대는 시늉만… 온실가스 감축 목표 지나치게 높아
장기적 관점 에너지대책 마련 시급
"천연가스가 앞으로 20~30년 간 전 세계 에너지 산업의 성장을 이끌 겁니다."
이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만난 조 마스트란젤로(사진) 제너럴일렉트릭(GE) 가스파워시스템 부문 최고경영자(CEO)는 이같이 단언했다.
이날 '파워젠 2015'의 개막연설을 맡은 마스트란젤로 CEO는 천연가스가 현재 가장 저렴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GE는 전 세계 발전소에 가스·스팀터빈을 공급하고 있다.
그의 말대로 가스발전소 건설비용은 ㎾당 700달러로 원자력(5,000달러), 석탄(2,500달러), 태양광(1,500달러)보다 훨씬 저렴하다. 천연가스 자체의 가격 역시 셰일가스 혁명에 힘입어 지난 5년간 30% 이상 저렴해진 상태다. 가스발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석탄발전의 절반이라는 강점도 있다.
마스트란젤로 CEO는 "지금의 에너지 시장에서 '핫'한 분야는 가스발전"이라며 "앞으로 10년 동안 5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때문에 가스발전은 수십년 후 인류가 완전한 신재생에너지 시대에 진입하기 위해 거쳐야만 하는 '다리'로 표현된다. 파워젠 전시부스에서 만난 미국 에너지 기업 서던컴퍼니의 톰 패닝 CEO는 "신재생에너지 시대가 오더라도 태양열·풍력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여전히 가스발전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미국은 올 들어 사상 처음으로 가스발전(31%)의 비중이 석탄(30%)을 넘어섰다. 일본은 오는 2030년까지 전력공급 비중 목표치를 천연가스 27%, 신재생에너지 22~24%, 원자력 20~22%로 잡고 있다.
해외에서 이처럼 천연가스가 필수 에너지원으로 대접받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천연가스의 존재감이 미미하다.
에너지 업계 조사기관인 BP에 따르면 국내 전체 에너지 소비량을 전원(電源)에 따라 구분했을 때 석유 비중은 39%, 석탄 31%, 천연가스 16%다. 미국은 천연가스의 비중이 28%로 우리보다 훨씬 높다.
이미 가스발전 설비는 충분히 갖춰졌지만 여전히 중심은 석탄발전에 맞춰져 있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발전설비 전체 용량 중 천연가스는 28.7%, 석탄은 28.2%, 원자력은 22.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발전한 전력의 규모를 보면 석탄 39.3%, 원자력 30%, 천연가스는 20.4%였다.
멀쩡한 가스발전소를 놀리고 석탄발전에 주력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국내의 천연가스 판매량은 2013년 3,867만톤에서 지난해 3,517만톤으로 급감했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초점 잃은 에너지 정책이 근본 문제라고 지적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값싸게 전력을 공급하는 데 치중해 천연가스나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는 시늉만 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값싼 에너지'에 대한 집착은 정책에 반영돼 있다. 산업부가 2013년 발표한 제11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에 따르면 2012~2027년의 발전용 천연가스 수요는 연평균 5.5%씩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7월에 확정된 제7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서는 4기(1.5GW 규모)의 석탄발전소 신설을 중단하기로 했지만 석탄발전의 비중은 지금보다 확대할 방침이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정책을 감안하면 이는 상당히 모순적이다. 정부는 6월 37%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를 설정했다. 이에 따라 국내 산업계는 2013년 6억9,450만톤이었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 5억3,600만톤까지 줄여야 한다. 재계에서는 정부가 산업발전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다른 나라보다 지나치게 앞선 목표를 세웠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 재계 관계자는 "최종 소비자들이 저렴하게 전기를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가 정책은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산업 변화 등의 이슈에도 대비해야 한다"며 "'에너지 마피아'들의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장기적 관점의 정책을 재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라스베이거스=유주희기자 ginger@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