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제련소 등의 공장 굴뚝을 통해 배출되는 대표적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을 줄이기 위해 정부와 산업계가 손을 잡았다.
환경부는 1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이재용 장관, 윤준하 환경운동연합, 김재옥자원순환연대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강창오 포스코 사장 등 19개 기업대표들과 `특정잔류성오염물질(POPs) 배출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참여한 기업은 포스코.현대INI스틸.동국제강.창원특수강 등 철강업체,풍산.진로산업 등 비철금속업체, 현대시멘트.쌍용양회공업.성신양회 등 시멘트업체,LG화학.한화석유화학.대한펄프 등 화학.에너지 계열 업체들이다.
이들 기업은 협약식에서 다이옥신 배출량을 2008년까지 지금의 70% 수준으로, 2010년까지는 절반 수준으로 각각 줄이기 위해 다이옥신 제거시설 설치, 원료.시설.
공정 등 개선, 배출량 측정결과 매년 환경부 보고를 약속했다.
환경부는 대신 다이옥신 제거시설 설치에 필요한 자금을 융자해 주고 배출량을줄이는 데 필요한 기술을 지원하는 한편 `다이옥신 등의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다이옥신은 스톡홀름 국제협약이 정한 12가지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중 하나로 청산가리의 1만배 독성을 가진 맹독성 물질이며 1960년대 베트남전에서 사용된고엽제에 포함돼 기형아 출산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국내의 경우 다이옥신 배출량(2001년 기준)은 연간 820g으로 추정되며 이 중 83%는 폐기물 소각시설에서, 17%는 비소각 산업분야에서 배출됐다.
이 같은 배출량은 일본의 2001년 배출량(1천886g)의 43% 수준이지만 일본은 강력한 규제로 2003년에는 배출량을 375g으로 크게 줄였다.
국내에서도 1997년부터 소각시설에 대해 다이옥신 배출을 규제하고 있으며, 철강 등 288개 주요 산업시설에 대해서는 2001년부터 다이옥신 배출현황을 조사하고있다.
(서울=연합뉴스) 문병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