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소재 개발 10년간 8,500억 투입

'소재전문가와 산자부장관과의 만남'-소재강국 비전 발표
산자부-연구기관 혁신인프라 구축 MOU체결
수출 1,500억달러·7조원 수입대체효과 목표
소재산업 특성 감안 대기업 적극 참여 유도도

24일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소재전문가와 산자부 장관'과의 만남에 참석한 정세균(오른쪽 다섯번째) 산자부 장관이 김동철(〃여섯번째) 부품소재산업진흥원장등 각유 관기관 연구원장들과 혁신인프라 구축을 위한 협약서에 서명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호재기자


산업의 핵심요소인 소재의 개발과 시장 확보를 위해 미국ㆍ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이 치열한 경쟁을 전개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 부문에 대한 전폭적인 재정투입을 통해 ‘2015년 소재강국 실현’에 발벗고 나선다. 정부는 내년부터 10년 동안 50대 핵심소재의 원천기술 개발 등에 모두 8,500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특히 12개 부품소재 전문 연구기관들과 금속 및 화학ㆍ세라믹 등 3대 분야별 핵심소재 원천기술 개발지원을 총괄하는 소재발전협의회를 구성, 소재산업 육성에 보다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을 해나가기로 했다.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은 24일 서울 용산구 백범기념관에서 ‘소재전문가와 산자부 장관과의 만남’의 자리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5년 소재강국 실현을 위한 발전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50대 핵심소재 원천기술 확보=정 장관은 이날 “2015년까지 소재 관련 원천기술 확보 수준을 선진국의 90%까지 끌어올려 소재 부문 수출 1,500억달러와 무역수지 160억달러 달성은 물론 21조원의 미래시장 선점, 7조원의 수입대체 효과 등을 창출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특히 이 자리에서 정 장관은 김동철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장 및 박화영 한국기계연구원장 등 12개 소재전문 연구기관장들과 소재산업 육성을 위해 ‘허브앤스포크(Hube & Spoke)’ 방식의 혁신인프라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을 주축으로 소재발전협의회를 구성, 가동하고 한국기계연구원(금속)과 한국화학연구원(화학), 요업기술원(세라믹) 등 3대 허브기관을 중심으로 소재정보은행(Materials Bank) 설립과 전문인력 양성, 정보교류 및 공동 연구개발 추진 등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갖춘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 같은 입체적 지원시스템 구축 방안을 토대로 이동통신용 갈륨비소 웨이퍼와 미래형 자동차용 초경량 마그네슘 판재 등 50대 핵심소재 원천기술 개발에 7,300억원을, 소재정보은행 설립 및 전문인력 양성 등 소재산업의 인프라 구축에 1,200억원을 투입한다. 당장 내년부터 10대 기술 개발에 200억원과 인프라 구축 부문에 110억원 등 310억원을 지원한다. ◇3단계로 진행하는 로드맵 만든다=이와 관련, 원천기술 개발은 장기간의 연구와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점을 감안해 최장 10년에 걸쳐 3단계로 나눠 추진한다는 방침이며 올해 말까지 구체적인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해 확정할 예정이다. 이태용 산자부 기간제조산업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발전비전 발표를 통해 “1단계의 경우 대학과 연구소가 주관해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2ㆍ3단계는 기업의 참여를 의무화해 기술의 응용 및 실용화를 추진하는 것이 주된 방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동시에 장기 프로그램으로 인한 연구기관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고 연구개발(R&D) 성공가능성 제고와 경쟁 유도를 위해 과제선정과 평가단계 등 단계별 평가 때마다 일정 비율을 탈락시키는 방안을 도입, 프로젝트 운용에 긴장감을 불어넣는 동시에 효율성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산자부는 이와 관련, 이번에 제시한 발전비전의 목표 달성과 소재산업의 고위험ㆍ고수익 특성을 감안, 전국경제인연합회의 부품소재특별위원회 등 재계와 연계해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