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TV] 7월 가계대출 7조3,000억원 증가

7월 은행권의 가계대출이 7조3,000억원 늘어났다. 저금리에 따른 주택거래가 활발한 영향이다.

전반적인 연체율은 하락 기조이지만 기업 구조조정 여파로 대기업 연체율만 올랐다.

금융감독원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잔액이 7월말 현재 1,295조5,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5조8,000억원(0.4%) 증가했다고 1일 밝혔다. 다만, 여기에 7월 중 주택저당증권(MBS) 유동화 금액이 6조2,000억원 반영된 점을 감안하면 실제 증가폭은 12조원이다.

이중 가계대출은 527조1,000억원으로 1조1,000억원 늘었다. 이 역시 MBS 유동화를 포함해 보면 7조3,000억원 증가한 것이다.

유동화 잔액을 합한 기준으로 7월 가계대출 증가폭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다만, 4월(8조5,000억원)과 5월(7조4,000억원), 6월(8조2,000억원)보다는 다소 둔화했다.

금감원은 저금리 상황에서 대출을 활용해 주택 매입에 나선 가계가 많아진 데 따른 영향으로 보고 있다.

7월 중 서울지역의 아파트 거래량은 1만2,100건으로 6월의 1만1,200건보다 조금 많았다. 7월 중 대기업 대출은 179조5,000억원으로 1,000억원, 중소기업 대출은 558조7,000억원으로 5조1,000억원 증가했다.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69%로 1년 전 같은 시점보다 0.18%포인트 하락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4%로 1년 전보다 0.22%포인트, 중소기업대출 연체율도 0.90%로 0.24%포인트 각각 떨어졌다. 반면 대기업 연체율만 0.84%로 0.10%포인트 올라갔다.

금감원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과 건설업 등을 중심으로 기업대출 연체율이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 구조조정 등 변수가 연체율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