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자전거시장 '소문난 잔치'

임대·전기자전거 개발 등 녹색 성장 정책 지지부진
업계 변변한 실적 못올려 "세제등 후속대책 마련돼야"


자전거 제조업체 A사는 최근 사내에 공공자전거팀을 꾸리고 지방자치단체를 찾아다니며 의욕적으로 영업에 나섰지만 변변한 실적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공공자전거는 여러 사람이 사용해 고장이 잦은데다 사후관리비도 많이 들 수 밖에 없지만 시장에 나오는 물량은 대부분 저가입찰에 부쳐지는 바람에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공공 임대자전거의 경우 아직 비즈니스모델이 정착돼지 않아 사업자와 지자체간에 수익 배분을 놓고 마찰을 빚는 경우도 발생한다"며 "시장규모가 크다 보니 다들 관심은 높지만 실제 수익으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다"고 밝혔다. 정부가 녹색성장 차원에서 추진하는 공공자전거시장이 허술한 정책 시행으로 겉돌고 있다. 이에 따라 녹색수혜주로 기대를 모았던 자전거업계는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게 없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천리자전거ㆍ알톤스포츠 등 자전거업체들은 공공자전거대여사업, 전기자전거 개발 등 녹색정책 관련사업에 앞다퉈 뛰어들었지만 당초 기대와 달리 정책 추진이 지지부진한데다 실제 수익성으로 연결되지 않아 애를 태우고 있다. 공공자전거 임대사업의 경우 그나마 창원시와 대전시 등 주요 지자체에서 앞다퉈 도입하면서 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지만 워낙 조건이 까다롭다 보니 '속빈 강정'이라는 얘기마저 나오고 있을 정도다. 업계 관계자는 "지자체마다 홍보를 위해 독특한 디자인의 자전거를 납품받겠다고 나서다 보니 제작비가 올라가고 수리를 위한 부품조차 조달하기 힘든 형편"이라며 "일반 자전거보다 제작과 관리는 훨씬 어렵지만 공급가격은 제대로 형성되지 않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전기자전거 대중화정책도 답보상태에 놓여있다. 전기자전거는 3시간가량 충전하면 시속 20㎞이상의 속도로 30~40㎞를 주행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정부가 고부가가치 자전거 육성을 위해 중점 지원하기로 했던 분야다. 일부에선 전기자전거 생산을 위해 국내에 공장을 따로 지을 정도로 열의를 보였지만 올해 내수판매는 1만대에도 못 미칠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자전거를 타면 시속 20㎞이상의 속도를 맨몸으로 견뎌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도로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며 "정부가 말로만 전기자전거 대중화시대를 얘기할 뿐 관련인프라 조성에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업계관계자는 "현재 국산 전기자전거 가격은 150만~200만원 수준으로 일반인들이 쉽게 구매하기 힘든 형편"이라며 "한국이 전기자전거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선 전기자동차처럼 세제 혜택이나 보조금 지원 등 후속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