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 시중은행 건전성 격차 커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각종 구조조정 이슈로 시중은행들의 여신건전성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당장 금융안정성을 위협할 정도로 건전성 지표가 악화한 은행은 없지만 이런 추세가 지속할 경우 안정성이 높은 은행으로의 고객 이탈이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2008년 3분기 0.7∼0.9% 수준이었던 국민·신한·우리·하나·외환·스탠다드차타드(SC)·씨티 등 7개 시중은행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014년 3분기에 1.1∼2.4%로 범위가 넓어졌다.

여신건전도는 위험도가 낮은 순서대로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5개 단계로 나뉘는데,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회수 가능성이 낮은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여신의 비중을 뜻한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떼일 확률이 큰 대출이 많다는 의미다.

구체적으로 보면 2008년 3분기 기준으로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가장 낮은 은행은 외환은행으로 0.69%였고, 우리(0.75%), 국민(0.78%) 등이 시중은행 평균(0.82%)보다 낮았다.

가장 높은 은행은 하나(0.95%)와 SC(0.94%)였지만 평균과의 격차는 그리 크지 않았다.

그러나 6년 만인 2014년 3분기에는 가장 낮은 신한은행(1.07%)과 가장 높은 우리은행(2.36%) 간 격차가 1%포인트 이상으로 크게 벌어졌다.

부실채권에 대한 은행의 충격 흡수 여력을 뜻하는 대손충당금 적립비율(고정이하여신 대비)도 같은 기간에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2008년 3분기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가장 낮은 하나은행이 143.3%, 가장 높은 외환은행이 189.7% 수준으로 격차가 50%포인트 내외였다.

그러나 2014년 3분기에는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이 높은 씨티(258.8%), 신한(155.6%)과 이 비율이 낮은 우리은행(92.1%)간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부실이 나면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미리 쌓아두는 대손충당금도 시중은행 간 차이가 두드러지게 달라진 것이다.

은행권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높아진 것은 자산건전성 분류기준이 강화된 탓도 있지만 금호아시아나, STX, 동부 등 일부 대기업의 구조조정 여파와 조선·건설 경기의 침체로 기업 부실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개인여신보다 기업여신 비중이 높은 은행일수록 경기악화에 따른 부실에 더 크게 노출되면서 은행 간 건전성 지표 격차가 벌어지게 된 셈이다.

당분간 경기회복이 지연될 경우 대출을 갚지 못하는 기업이 늘면서 여신건전성 격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발표한 상장기업 경영분석에 따르면 영업수익으로 이자조차 감당 못하는 기업의 비율(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업체)은 2013년 3분기 29.5%에서 2014년 3분기 30.5%로 증가했다.

올해 하반기 이후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 국내 금리의 인상 압력이 현실화하면 재무 여건이 어려워지는 기업은 더 늘어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정책당국의 독려로 시중은행이 기술신용평가에 기반한 기술금융 대출을 늘리고 있지만, 잠재 리스크가 어느 정도인지 아직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상황이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