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혁신이 정부기관의 현안 중 하나로 떠올랐지만 농협은 이 같은 시대적 요청에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눈총을 받고 있다.
농민에 군림하고 자기 식구만 챙기는 등 농협의 구태경영이 국감현장에서 속속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또 농협은 지역할당제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명문대학 출신들을 대거 채용했다.
국회 농림해양수산위 조일현(열린우리당) 의원이 18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농협은 지난해 정대근 농협중앙회장에게 모두 6억3,500만원을 지급했다. 지난 2001년 2억2,000만원이었던 회장 연봉은 성과급과 경영수당 신설 등에 따라 지난해 4억4,500만원으로 급등했으며 업무추진비까지 더하면 같은 기간 4억1,000만원에서 6억3,500만원으로 오른 셈이다.
3개 사업 부문별 대표와 상임감사의 경우 2002년 연봉을 9,300만원씩 올렸으며 신설한 성과급을 합하면 총보수가 전년보다 110∼176%나 올랐다. 농협 지역조합장 평균 연봉은 2001년 4,700만원에서 지난해 6,400만원으로 2년 동안 36% 가량 올랐으며 업무추진비까지 더하면 조합장에 대한 평균 지출은 9,0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농협은 이날 농가 대출에 대한 연체금을 가압류, 경매 등을 통해 강제로 회수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농민을 위한 농협인지 의심케 하고 있다. 김영덕(한나라당) 의원이 배포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농협의 농가연체금 강제회수 규모는 2002년 597건(317억원)에서 지난해 2,399건(1,033억원)으로 4배 규모로 늘었고 올들어 3월까지는 2,305건(845억원)에 달했다.
농협은 전국단위 100명, 지역출신 70명을 각각 선발하겠다는 ‘지역할당제’ 약속도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중앙회가 김우남(열린우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대졸사원 채용현황에 따르면 농협은 지난해 170명을 채용하면서 서울대를 비롯한 서울 소재 주요대학 출신자를 대거 선발했다.
출신대학별로 보면 최종합격자 170명 중 서울 소재 대학 출신자가 106명으로 전체의 62.4%를 차지했고 이중 서울대(17명), 연세대, 고려대(이상 15명) 출신자는 47명으로 전체의 27.6%였다. 지방대 출신자는 인천ㆍ경기 지역을 포함해 총 64명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