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화의기아자외 회생가능성 희박/기아자동차 화의 계열사 법정관리김 회장 퇴진 등 채권단과 신뢰회복 과제/법정관리연쇄도산 방지 ‘조기 3자인수’가 걸림돌
채권단이 검토하고 있는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화의=이 방법을 통해 기아그룹이 자력으로 회생할 수 있다면 채권단으로서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채권단의 입장에서는 원금상환은 유예하더라도 정상적인 이자만 받으면 되기 때문이다. 만족스럽지 못한 화의조건은 기아그룹과의 협상을 통해 채권단이 요구하는 수준으로 상향조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정부분의 담보가 있는 은행권으로서는 별제권 행사를 포기하는데 대한 프리미엄을 얻을 수 있고 우대금리 이상의 이자율을 받을 경우 대손충당금도 1%만 쌓으면 된다.
하지만 대외채무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다. 대외채무에 대한 상환요구가 있을 경우 금융기관이 이를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기아그룹의 대외채무는 기아자동차 3억4천8백만달러 등 총 6억8천7백만달러에 달한다.
또 기아그룹 정상화에 소요되는 자금지원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추가로 지원되는 자금에 대한 우선순위를 보장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당초 채권단은 기아자동차에 다음해 연말까지 채권행사를 유예하고 수요자금융 월 1천5백억원 지원, DA(선적서류인수부어음)한도 3억달러 확대 등을 통해 회생시킬 방침이었다. 이같은 지원이 없는 상태에서 기아그룹을 살리기는 어렵다는게 금융계의 일반적이 견해다.
이와함께 기아자동차를 제외하고는 회생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도 화의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기아자동차 화의, 다른 계열사 법정관리=그동안 채권단이 추진해온 기아사태 해결방안과 일맥상통한다. 채권단은 당초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조건부정상화 판정을 받은 기아자동차만을 회생시키고 아시아자동차, 기아특수강, 기산 등 다른 계열사들은 제3자매각 등을 통해 정리해나갈 방침이었다.
채권행사 유예조치의 걸림돌이었던 제3금융권의 자금회수 움직임을 사전에 차단하고 회생가능한 기아자동차에 자금을 지원한다면 좋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문제로 남는 대외채무관계도 자금지원이나 금융기관 보증을 통해 풀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기아자동차에 대한 채권단의 신뢰관계가 깨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회복시키지 않고서는 이 방안도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는 어렵다는 견해다. 채권단은 이 방안을 추진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김선홍 회장의 사표서 제출을 강력하게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기아그룹은 지난 24일 주거래은행인 제일은행을 방문, 인원감축 및 임금삭감에 대한 노조동의서 사본을 제출하고 이번 주내에 노조동의서를 제출할 의사를 밝혔지만 김회장의 사퇴서에 대해서는 기존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법정관리=여신규모가 큰 채권금융기관들의 대규모 적자결산이 예상되며 일부 종금사의 경우 도산위기까지도 우려된다.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원금상환이 최장 20년까지 유예될 뿐만 아니라 이자의 대폭 삭감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는 금융계에 미치는 파장이 너무나 크기 때문게 섣불리 결정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국가신용도 추락도 문제다.
기아그룹 협력업체의 연쇄도산도 우려된다. 이들 협력업체는 기아는 물론 현대자동차, 대우자동차 등 타사에도 납품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산업 전체가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 파장은 경제전체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이같은 문제점을 한번에 정리할 수 있는 방안은 조기 제3자인수다. 금융계에서는 제3자인수가 이른 시일내에 이루어진다면 법정관리가 가장 좋은 해결책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기아자동차의 제3자인수는 조기에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동안 인수거부의사를 밝혀온 삼성이 방향을 바꿔 인수자로 나서기도 어려울 뿐더러 인수자로 나선다하더라도 인수협상과정에서의 갈등도 많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경쟁업체인 현대, 대우 등 기존 자동차업계의 움직임도 기아자동차의 조기 제3자인수에 장애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