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경쟁력 9단계 하락한 38위

올 IMD 연감…정부·기업 효율성 급락탓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크게 뒷걸음질쳤다. 스위스 로잔에 본부를 둔 국제경영개발원(IMD)이 10일 발표한 ‘2006년 세계경쟁력 연감’에서 한국의 국가경쟁력은 지난해 29위에서 올해 38위로 9단계 하락했다. 특히 아시아권 조사대상 15개 국가ㆍ권역 중 13위를 기록,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올해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정부의 행정효율성과 기업 경영의 효율성 부문에서 크게 추락, 전체 국가경쟁력 순위도 급락했다. 한국의 뒷걸음질과는 대조적으로 홍콩과 싱가포르가 2, 3위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지난해 31위에서 19위로 약진한 것을 비롯, 인도(39위→29위), 말레이시아(28위→23위), 일본(21위→17위) 등 아시아 주요국의 국가경쟁력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17년째 1위를 고수했다.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지난 2002년에는 29위를 기록했다가 2003년 37위로 떨어진 후 2004년 35위, 2005년 29위로 상승했었다. IMD는 매년 선진국과 개도국 등 주요국가 및 권역을 대상으로 경제운용성과 등 4개 부문에 걸쳐 총 314개 항목을 평가해 경쟁력 순위를 발표하며 올해 조사대상은 52개국과 9개 권역 등 61개이다. 국내에서는 산업연구원이 IMD 국가경쟁력 조사 대행업무를 맡고 있다. 4대 평가 분야별로 볼 때 우리나라는 정부행정효율이 지난해 31위에서 47위로 16단계, 기업경영효율성이 30위에서 45위로 15단계 급락했다. 경제운용성과는 41위로 2단계 상승했다. 정부행정효율의 경우 기업관련법, 제도적 여건 및 공공재정 부문이, 기업경영효율성에서는 경영활동ㆍ노동시장 부문 등에서 10단계 이상 순위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에서는 노사관계와 금융전문가 활용의 용이성이 각각 61위를 기록했으며 생계비지수(59위), 성ㆍ인종 등 사회적 차별(58위), 감사와 회계투명성(58위), 중소기업의 효율성(58위) 등도 ‘바닥’ 수준이었다. 이에 비해 광대역통신망가입자비율이 1위에 올랐으며 특허생산성(2위), 환보유고(4위) 등도 강점으로 꼽혔다. 산업연구원은 4개 평가 분야 가운데 정부행정효율과 기업경영효율의 경우 설문조사 결과가 나빠 순위가 크게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즉 국가경쟁력 평가는 데이터 등을 근거로 한 경성평가와 기업관계자의 설문을 토대로 한 연성평가로 구분되는데 지난해와 비슷한 순위를 기록한 경제운용성과 분야는 39개 조사항목 중 4개, 발전인프라는 79개 중 30개가 설문인 반면 순위가 급락한 정부행정효율성은 61개 중 40개, 기업경영효율성은 60개 중 38개가 설문으로 설문의 비중이 컸다는 것이다. 김대욱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설문시점이 2~3월로 당시 론스타 사건, 철도파업 등으로 사회ㆍ경제적 분위기가 좋지 않았고 이러한 점이 설문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분석했다. IMD의 국내 기업인 대상 조사는 그동안 축적한 기업의 중간관리자 이상 최고경영자까지의 리스트에 매년 일정 수를 추가하며 산업연구원은 올해 300명의 기업인 리스트를 IMD에 추가로 보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