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연성 생활쓰레기·폐기 감귤·축산 분뇨… 新 에너지원으로 각광

지자체들 연료화사업 잇따라 '일석이조'

파쇄된 생활폐기물(왼쪽)과 성형가공한 고형연료 제품(오른쪽)

지방자치단체들이 처리에 골칫를 앓고 있는 가연성 생활쓰레기와 폐기감귤ㆍ축산분뇨 등을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사업에 잇따라 뛰어들고 있다. 생활쓰레기를 선별ㆍ가공하면 발전소ㆍ공장 등에서 보조연료로 쓸 수 있고 축산분뇨는 발효 과정에서 나오는 가스로 전기를 생산하고 비료도 만들 수 있다. 폐기감귤로는 바이오에탄올을 만들어 휘발유를 사용하는 차량의 보조연료로 쓸 수 있다. 단순 매립ㆍ소각하거나 바다에 버리는 쓰레기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도 지자체들에는 큰 매력이다. ◇생활폐기물이 고형연료로=강원도 원주시는 지난 2006년 말 전국에서 처음으로 하루 80톤의 생활쓰레기를 전처리, 40톤의 ‘생활폐기물 고형연료제품(RDF)’을 생산할 수 있는 생활폐기물연료화시설을 완공해 가동 중이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경기 부천시, 강원 강릉시, 전남 부안군과 부산ㆍ광주ㆍ대전광역시에도 생활쓰레기를 전처리해 RDF를 생산하는 시설이 속속 들어설 예정이다. RDF는 생활쓰레기를 잘게 부순 뒤 불에 타지 않는 금속ㆍ비철금속ㆍ유리, 탈 때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을 배출하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을 솎아내고 소석회를 섞어 분필 모양으로 성형가공한 것. 아직은 돈을 주고 RDF를 사가는 수요처가 없어 원주시와 생활폐기물연료화시설을 운영 중인 고려자동화는 지난해 말 완공된 원주시의 새 청사에 RDF 전용 보일러를 설치, 최근 냉난방 보조연료로 쓰기 위한 시운전에 들어갔다. 한국동서발전과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은 하루 4,500~5,000톤의 무연탄을 발전용 연료로 쓰는 동해화력에서 오는 4월 RDF를 보조연료로 사용해 연소성능, 배기가스의 환경성에 문제가 없는지 시운전해볼 예정이어서 그 결과가 주목된다. 원주시에 들어설 RDF 전용 열병합발전소도 생활쓰레기의 에너지화에 새로운 전기가 될 전망이다. ◇’휘발유차도 감귤을 먹는다(?)’=제주도는 옥수수ㆍ오렌지 등을 원료로 바이오에탄올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미국의 나스닥 상장회사 제탄올(Xethanol)과 손잡고 ‘감귤 에탄올’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도의 한 관계자는 “계획이 성사되면 폐기되는 비상품 감귤과 주스 등을 만들고 남은 찌꺼기로 연간 6만톤(8만4,000㎘)가량의 바이오에탄올을 제조할 수 있다. 이는 도에서 소비되는 휘발유(9만5,000㎘)의 88% 규모여서 수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또 ㈜제주퓨렉스 컨소시엄을 통해 10월부터 유채를 가공한 바이오디젤의 생산ㆍ판매에 나선다. 올해에는 제주도에서 생산된 유채 전량(약 1,500톤)을 사들여 6만톤가량의 바이오디젤을 생산, 연간 경유 소비량(28만톤)의 20%를 대체할 계획이다. 도의 한 관계자는 “유채 재배면적이 늘어나면 관광 활성화와 농가소득 증대에 도움이 되고 경유차량 이용자는 리터당 90~100원가량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축분뇨로 전기 생산=경북 문경시는 독일 엔비오(Envio)사의 국내법인 엔비오코리아와 내년 8월까지 영신동 하수처리장 부지에 하루 170톤의 축산분뇨를 처리할 수 있는 ‘바이오 가스 플랜트’를 설치할 계획이다. 가축사육 농가의 골칫거리인 가축분뇨를 수집, 발효 과정에서 나오는 가스로 전력을 생산하고 처리과정을 거쳐 비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일부 남은 물질은 하수처리장에서 처리, 2012년부터 쓰레기 해양투기가 금지되는 데 따른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엔비오코리아는 전력을 팔고 탄소배출권을 확보해 수익을 올릴 수 있어 서로에 ‘윈윈게임’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