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통한 일본 진출 전략 준비해야"

삼성경제연구소는 한.일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에 대비해 일본기업에 대한 인수.합병(M&A) 전략을 마련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연구소는 14일 '외국기업의 일본기업 M&A 전략' 보고서에서 "그동안 대다수 한국기업이 일본 시장 공략에 성공하지 못한 것은 복잡하고 까다로운 일본 시장에 대한 '직접 진출' 전략이 벽에 부딪혔기 때문"이라며 "한.일 FTA 타결 후 효과적 일본시장 진출 방법으로 M&A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90년대 후반부터 제조.통신.유통.금융 등 다양한 업종에서 일본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고 관련 법과 제도가 정비되면서 일본의 M&A 시장은 빠르게 확대돼왔다. 지난 95년 531건에 불과했던 일본의 M&A 건수는 지난해 2천725건에 달해 10년간5배 이상으로 늘었다. 더구나 제도 개선을 통해 2007년 4월부터는 외국기업이 현금 없이 주식만으로일본기업을 M&A 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일본 기업에 대한 외국기업의 M&A 시도도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연구소는 일본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갖춘데다 일본 사회에 자국기업에 대한 '만능주의' 인식이 팽배하고, 제도상 장벽 역시 여전히 많은 만큼 M&A를 통한 일본 진출을 위해서는 치밀한 검토와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구소는 일본 기업 이해관계자들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분참여나 합작등 지분 참여율이 낮은 수준에서 시작해 점차 출자확대, 경영권 취득, 완전자회사등 높은 수준의 M&A로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또 연구소는 일본의 경우 미국 등과 달리 매각기업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지 않거나 인적 관계 등 비공식적 채널을 통해 교환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므로 풍부한정보와 노하우를 갖춘 M&A 전문 중개기관을 활용하라고 권했다. 실제 M&A 과정에서는 '자본'의 논리 보다는 '화합'을 강조하고, 일본인 최고경영자(CEO)를 선임하는 등의 철저한 '현지화'가 필요하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