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 도시로 확대… 다문화 정책 틀 바꿔야

국제결혼이 도시로 확대되고 다문화 가족의 자녀수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다문화정책의 틀을 초기적응 지원형에서 정착 지원형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상림 박사는 여성가족부와 한국인구학회가 15일 오후3시 한국프레스센터 20층 프레스클럽에서 ‘혼인 이주현상에 대한 인구학적 조망’이란 주제로 갖는 토론회를 앞두고 기조발표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자료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00년대 초반 농촌지역에 상대적으로 집중됐던 외국인 여성과 한국인 남성의 국제 결혼은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도시로 점차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결혼한 내국인 남성의 거주지 분포는 2000년에 대도시 41.6%, 중소도시 38.2%, 군단위 20.2%이던 것이 2010년에는 대도시 29.6%, 중소도시 46.1%, 군단위 14.2%로 변화했다.

또 국제결혼 건수는 2005년 4만2,000건을 정점으로 줄어들어 2010년에는 3만4,000여 건으로 전체 혼인의 10.4% 비율을 차지했다.

이 박사는 국제결혼 건수는 감소 추세이나 전체 결혼 이주여성 및 다문화 가족 자녀 수는 계속 증가할 것이므로 중장기적으로 초기적응 지원형에서 정착 지원형 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혼인 이주자들은 2011년 기준 약 14만1,000명 정도이며, 이 가운데 여성이 12만 3,000명 정도이다. 이는 전체 체류 외국인의 약 14.1%이다. 정부는 혼인이주자와 그 자녀를 고려하면 혼인이주자와 다문화가족 자녀 수는 22만6,000명 정도일 것으로 추정했다.

김금래 장관은 "결혼 이주와 다문화 가족의 현재를 진단하고 향후 방향성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면서 "다문화 가족정책이 질적 발전을 거듭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 각계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