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생산량도 합의하자" 너무 나간 현대차 노조

올 임단협 요구안에 포함
2011년 후 국내생산량 정체로 좁아지는 입지 막기 위한 의도
"과도한 경영개입 아니냐" 빈축


현대자동차 노조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을 앞두고 해외공장 생산량을 노사 합의로 결정하자는 안을 내놓아 과도한 경영개입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3일 현대차 노사에 따르면 노조는 올해 임단협 요구안을 확정하기 위해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임금 15만9,900원(기본급 대비 7.84%) 인상 등 43개 요구안을 통과시켰다. 이 가운데는 국내와 해외공장의 총 생산량을 노사 합의로 결정하자는 요구도 포함돼 있다.

노조의 이 같은 요구는 지난 2011년 이후 정체된 국내공장의 생산량과 달리 해외공장에서는 매년 생산량이 크게 늘어 노조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는 것을 막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문제는 현대차 국내 노조의 경우 국내 근로자를 중심으로 조직돼 있어 해외공장 생산규모 등은 다분히 경영적 판단에 속한다는 점이다. 이는 노조가 개입해야 할 영역 밖의 문제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것이다.

현대차는 1997년 터키공장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미국과 중국·인도·체코·러시아·브라질 등 7개국에서 현지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중국 창저우와 충칭에 오는 2016년과 2017년 완공을 목표로 제4, 5공장을 짓고 있다. 미국·인도·브리질에도 공장 증설을 계획하고 있다. 2009년 48%이던 해외공장 생산비율은 2010년 50%를 넘어 2013년 60%를 넘기는 등 매년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생산량도 지난해 300만대를 넘어섰다. 하지만 국내 생산량은 몇 년째 190만대에 묶여 있으며 증설 계획도 없다. 2020년이면 국내 생산비율은 28.4%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 사정에 정통한 한 재계 관계자는 "현대차 해외공장의 생산량이 점점 늘어나면서 노조가 입지축소 등의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며 "국내공장 신증설이나 해외공장을 포함한 전체 생산량을 노사 간에 합의하자는 조항을 단체협약에 넣기를 원하는 것도 이 같은 내부 분위기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현대차 노조는 단체협약을 갱신해 연금수령 시기에 맞게 최대 65세까지 정년을 연장하고 장기근속자 기념 포상 등을 함께 요구하기로 했다.

노조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요구안을 곧바로 회사에 전달한 뒤 상견례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협상을 벌일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