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기자재 中에 밀릴수도"

최병국 부산기자재조합 전무 "20%도 안돼… 특단 대책 마련을"


"국내 4대 조선사들이 중국의 발빠른 추격 등에 대응, 부가가치가 높은 해양플랜트 수주에 주력하고 있는데 기자재 국산화율은 20%도 안 됩니다. 국산화율이 90% 이상인 일반 상선 수주잔량이 감소하는 2~3년 뒤에는 조선기자재업계의 일감이 반토막 날 수도 있습니다."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의 최병국 전무는 18일 기자와의 전화인터뷰에서 "4대 조선사 수주 선박의 60%가 드릴십(심해원유시추선),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 등 해양플랜트로 빠르게 바뀌고 있는 만큼 정부와 부산시ㆍ조선소ㆍ기자재업계가 하나로 뭉쳐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합에 따르면 부산에는 조선기자재업체의 65%(약 560개)가 밀집돼 있고 이들 기업의 고용인원도 3만5,000명에 이른다. 하지만 현대중공업ㆍ삼성중공업ㆍ대우조선해양ㆍSTX조선해양 등 빅4 조선사들이 일반 상선 등의 수주 비중을 낮추면서 기자재업체들의 매출은 지난 2009년 11조원에서 지난해 10조원 규모로 11%나 감소했다. 반면 기자재 국산화율이 낮은 해양플랜트는 수주 비중이 60% 이상(올 들어 70%)으로 급상승, 수주액의 50% 이상(연간 6조원)이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 최 전무는 "해양플랜트 기자재는 미국ㆍ유럽ㆍ일본의 장비 메이커 등이 오랫동안 과점해온데다 안전성ㆍ신뢰성 기준이 까다롭고 납품실적이 있어야 발주자인 석유 메이저나 모듈업체 등에 접근할 수 있다. 석유 메이저들이 조선사에 해양플랜트를 발주할 때 특정 기자재ㆍ모듈을 쓰도록 옵션을 다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미국 멕시코만과 중국 발해만의 해양플랜트에서 발생한 대규모 원유 유출사고도 안전성ㆍ신뢰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줘 시장 진입장벽을 더욱 높게 만들고 있다. 자주개발 유전이 많은 중국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대규모 선진업체들과의 제휴 등을 통해 해양플랜트를 설계ㆍ제작하고 발 빠르게 기자재를 국산화해 납품실적을 쌓고 있지만 국내에 자주개발 유전이 없는 우리나라는 훨씬 불리한 여건에 놓여 있다. 다만 세계 해양플랜트 완제품 시장의 70%를 점유하는 조선사들은 중소ㆍ중견 조선기자재업체들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든든한 지원군이 될 수 있다. 최 전무는 "중소기업이 자력으로 기자재ㆍ모듈을 국산화하거나 이를 납품하기란 매우 어렵다. 기자재업계는 물론 대형 조선사들의 적극적인 국산화 노력과 정부의 체계적이고 과감한 지원책이 절실하다. 때를 놓치면 부가가치가 높은 해양플랜트 기자재 등의 부문에서 중국에 뒤지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와 대형 조선소, 기자재업계 간에 코디네이터 역할을 하고 기자재 시험ㆍ인증을 지원하며 국산화 우선순위를 정하고 시장 진입 방안을 마련하는 등 정책 수립ㆍ집행까지 아우르는 정부출연연구기관 또는 지원센터 같은 컨트롤타워가 있어야 기자재ㆍ모듈 국산화를 일사불란하게 추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합은 부산시ㆍ부산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15일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에게 이 같은 내용을 건의했다. 건의사항은 ▦부산에 전담 정부출연연구기관(한국해양플랜트기술원)을 설립해 연구개발과 기자재 국산화, 기술지원설비 구축 ▦정부가 주도하고 대형 조선소, 기자재업체가 참여하는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 전담팀'을 구성해 연차별 국산화 품목ㆍ전략 수립 ▦해양유전을 시추할 수 있는 '제2의 두성호' 건조를 통한 해양플랜트(기자재ㆍ모듈 포함) 설계ㆍ제작기술 및 납품실적 확보 등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