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 활성화 정책의 윤곽이 드러났다. ▦벤처 패자부활 시스템 구축 ▦인수합병(M&A) 활성화 ▦벤처캐피털 육성 ▦코스닥, 제3시장 활성화 등이 골격을 이룰 것으로 알려진 이번 벤처 활성화 정책은 23일 중소기업특별위원회에서 발표된다.
이미 공개된 벤처 활성화 정책 청사진은 세간에 알려진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아 보인다. 각계 의견을 수렴해 고민 끝에 정부가 내놓은 만큼 이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 크다. 특히 이번 정부의 정책이 벤처 거품, 반(反)벤처 정서 속에서 나온 결과라는 점에서 국민들과 투자자의 반응이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다.
사실 이번 벤처 활성화 정책은 정부와 벤처업계가 주축이 돼서 만들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장맛비에 젖은 나무’꼴인 벤처시장이 회생해야 국가 경제가 활기를 찾을 수 있다는 정부의 경기부양 의지와 ‘벤처 르네상스’를 원하는 벤처 기업인들의 염원이 맞아떨어졌다.
만만치 않은 반벤처 정서에도 불구하고 역동적인 기업가 정신, 새로운 기업 문화, 국가 경제 활성화의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벤처가 국가 경제의 혁신주체라는 데는 토를 달 이유가 없다. 국가 경제 활성화의 핵심전략을 혁신과 신기술 개발에 두고 있는 정부입장에서 벤처를 성장동력의 동반자로 다시 내세우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 결과인지 모른다.
문제는 이 같은 벤처 활성화 정책을 시장이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달려 있다. 정성 들여 마련한 벤처 활성화 정책도 시장에서 외면하면 사실상 무용지물인 셈이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반응은 제각각이다. 이미 ‘절반의 성공, 절반의 실패’로 끝난 벤처 정책을 다시 한번 끌어들여 인위적으로 경기를 부양하자는 것에 우려의 시각을 보내는 사람들도 많다. 자금순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벤처 및 벤처 캐피털시장에서는 선순환의 물꼬를 열어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큰 기대를 하고 있다.
증권시장의 반응도 각양각색이다. 코스닥시장에 등록된 벤처캐피털 종목은 최근 급등세를 기록하고 있다. 결국 벤처캐피털이 이번 정부정책의 최대 수혜자가 될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다. 반면 증권시장 일각에서는 보호예수제 완화와 코스닥시장 진입ㆍ퇴출 규정 변화를 놓고 염려하는 모습도 보인다.
증권시장이라는 게 어차피 적자생존이라는 철저한 시장원리에 따르게 마련인데 정부의 필요에 따라 이렇게 저렇게 바꿔놓으면 오히려 부작용만 낳는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의 벤처 활성화 정책 뚜껑이 열린 뒤 투자자의 반응이 더욱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