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공개강좌 대부분이 높은 수강료를 받는 최고위 과정으로 개설돼 공개강좌가 대학의 수익 올리기용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박혜자 민주당 의원이 28일 서울대학교에서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대 내 20개 기관은 42개 공개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공개강좌의 평균 수업료는 426만원이며 대부분 고위공직자와 기업 임원, 군장성 등으로 수강 자격에 제한을 두고 있다.
산업안전관리공단에서 수강료를 부담하는 산업안전최고전략과정의 경우 수강생 1명당 수강료가 1,200만원에 달했다. 미술관에서 개설한 소프트파워 사회지도자를 위한 예술문화과정은 수강료가 800만원, 바이오 최고경영자과정과 세계경제최고전략과정의 수강료는 각각 700만원과 650만원이다.
박 의원은 “서울대는 대학과 대학원뿐 아니라 도서관, 미술관 등에서도 최고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며 “서울대 재경위원회에서도 공개강좌 중 최고위 과정의 개설비율이 과도하게 높다는 지적을 한 바 있다”고 주장했다.
부실한 강의 내용도 도마에 올랐다.
서울대 도서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문헌지식정보 최고위 과정의 교육일정을 살펴보면 교육목표와 무관한 부부활동과 부부동반특강뿐 아니라 '이제는 약도 맞춰 먹는 시대', '지방대사와 지방조직에 대한 허와 실' 등 건강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정도다.
또 당초 교육 일정에는 기관 연수와 세미나 등으로 계획돼 있지만 인쇄기업 한 곳을 방문한 이후 모두 관광일정으로 소화했다.
박 의원은 “대부분 최고위 과정은 수강생 특전으로 서울대 총동창회 동문 및 회원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며 “또 기수별 동문회를 조직하고 지속적 교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정도”라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이어 “교육과 연구에 몰두해야 할 대학이 돈벌이 강좌에 나서는 건 적합하지 않다"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질 높은 평생교육강좌를 고민하는 게 국립대인 서울대의 본분에 더 부합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