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의 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는가'우리나라가 IMF(국제통화기금) 체제에서 완전히 졸업했지만 아르헨티나ㆍ브라질 등 신흥국가들의 금융불안은 우리의 가슴을 졸이게 만들고 있다.
현 상황에서는 우리가 제 2의 환란을 맞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평가다. 97년 당시 바닥을 헤매던 외환보유고가 무려 1,000억달러에 육박했고 국제 금융시장을 교란시키고 다녔던 투기성 자금인 핫머니의 활동도 현저하게 줄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계 경제침체와 맞물려 부실기업 매각 등 국내 현안의 처리가 지연될 경우 외환위기까지는 아니더라도 주가폭락ㆍ환율급등 등 '금융불안'의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 제2의 환란 가능성은 적다
정부와 전문가들이 환란의 재발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보는 가장 큰 이유는 외국자본이 급격하게 유출되는 등의 심각한 상황이 발생한다고 해도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외환보유고를 충분히 비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외환보유고는 97년 39억달러에서 현재 978억달러로 늘었다.
투기성자금의 공략 등에 따른 외국자본의 대량 이탈에 대응할 수 있는 실탄을 보유하게 된 것이다. 또 과거보다 나은 금융시스템을 구축하고 국가간 공조체제가 과거보다 좋아졌다. 일본ㆍ중국ㆍ태국 등 비상시에 자금을 지원해 줄 수 있는 통화스왑 체결이 좋은 예이다.
◆ 여전한 금융불안
환란의 가능성은 적다고 해도 주가폭락과 환율급등을 시그널로 한 금융불안의 가능성은 여전히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삼성경제연구소 정영식 수석연구원은 "금융ㆍ기업부실 등 국내 현안의 해결이 지연되고 세계 경제가 침체될 경우 금융불안의 심화가 예상된다"며 "부실기업처리가 지연되면서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고 재정여건 악화ㆍ공적자금 상환 등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의 세계경제 침체가 아르헨티나ㆍ브라질ㆍ동남아시아 국가 등의 금융불안을 더욱 가속화시키면서 그 여파가 국내에까지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자본자유화와 더불어 금융시장의 국가간 연결성이 강화되면서 한 국가의 충격이 다른 국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순식간이기 때문이다.
금융연구원 최흥식 부원장은 "자본자유화와 환율변동성의 확대 등으로 인해 제반 경제적 리스크가 그 어느 때보다 증가했다"며 "기업과 민간부문에 대한 외환부문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는 동시에 이를 선진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용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