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아이칸의 적대적 인수합병(M&A)시도 때문에 KT&G가 곤혹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세계적 철강기업 포스코가 다음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월스트리트저널의 보도는 국내 우량기업 대부분이 적대적 M&A 공격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거듭 확인시켜주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포스코의 경우 특히 국내 투자자들의 지분보유가 미미해 적대적 M&A를 방어하기가 어렵고 동종업계의 세계적인 기업보다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으며 매각이 용이한 비핵심 자산이 많다는 점 등을 꼽고 있다.
KT&G나 포스코 뿐만 아니라 국내 많은 우량기업들이 적대적 M&A에 노출돼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고유가가 지속되면서 큰 이익을 낸 산유국의 오일 달러가 투기성 펀드로 몰린 탓에 아시아에 투자하는 헤지펀드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 지분이 국내 최대주주 지분보다 많아 적대적 M&A에 노출되어 있는 우량 상장기업이 58개에 이르고 있다는 게 전국경제인연합회의 분석이다.
외환위기 이후 자본시장 개방에 역행한다는 비난을 의식해 경영권 방어장치 마련해 소홀했기 때문이다. 또한 그 동안 경영진이 미리 우호지분 확보를 등한시한 것도 한가지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외국자본의 순기능을 충분히 인정하고 주주권익의 보호가 정당화된다 하더라도 국내 핵심산업을 단기성 투기자본이 주무르는 것은 막아야 할 것이다. 특히 최근 우리 경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과 철강산업의 전후방 연관효과 등을 감안할 때 포스코와 같은 우량기업이 외국자본의 적대적 M&A 대상이 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최근 선진국들은 자국 기간산업에 대해 보호장벽을 오히려 높이고 있다. 따라서 당국은 의무공개 매수제의 부활을 비롯해 차등 의결권이나 황금주 등 다양한 제도적 방어장치 도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기업들도 단순히 지분이 잘 분산된 데 만족하지 말고 적대적 M&A에 잘 대비하는 게 모범적인 지배구조 개선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