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사 시대, 금융시장 어떻게 바뀌나

우리, 신한, 동원에 이어 하나금융지주가 등장하면서 국내 금융계가 지주사 시대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국내 금융지주사가 초기단계에 있고 법적으로도 미비한 상태여서 변화를 감지하기에는 아직 이르지만 머지 않아 달라진 금융시장을 피부로 느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원스톱 금융쇼핑' 16일 금융계에 따르면 개인 금융소비자에게 금융지주사의 등장이 가장 먼저 느껴질 수 있는 부분은 아마도 원스톱 금융쇼핑이 될 것이다. 금융지주사는 은행, 증권, 보험, 투신 등 다양한 금융업종을 계열사로 거느리고있는 만큼 시너지효과를 내기위해 복합금융점포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여러 계열사를 한 건물에 모아놓는 식의 복합점포를 신설하는 것 뿐 아니라 기존 점포에 간단한 이종 금융창구를 덧붙이는 방식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개인 금융소비자는 은행에 가서 보험이나 적립식펀드에 가입하는것은 물론, 증권 창구에서 증권계좌를 틀 수 있고 주식거래 상담도 받을 수 있게 된다. 거액 개인 자산가도 다양한 금융분야의 계열사 직원들로부터 지금보다 더욱 충실한 프라이빗뱅킹(PB)을 받게 될 전망이다. 신한금융지주 관계자는 "금융지주사내 전 계열사가 총동원돼 개인고객에게 최적의 자산운용을 통해 최고수익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게 할 수있게 된다"며 "이를 위해 '파이낸셜센터'와 같은 종합금융서비스를 위한 거점 점포도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사 조달금리↓ 금융사 입장에서는 금융지주사로 묶이면서 '규모의 경제'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신용등급이 올라가면서 조달금리를 낮출 수 있을 전망이다. 또 은행, 증권, 보험 등에 분산돼 있는 콜센터, 전산업무를 통합사용하는 등 권역별 지원업무 통합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금융소비자의 예금금리를 더욱 높이거나 대출금리를 낮출 수 있는 요인으로도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함께 은행에서 보험, 증권 상품 등 이종 금융상품을 판매할 때도 타 금융기관과 제휴하지 않고 계열사 상품을 팔게 되기 때문에 상품판매에 대한 책임감도 그만큼 강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나금융연구소 관계자는 "계열사 상품을 팔면 아무래도 외부로 나가던 수수료가 지주사 안으로 다 떨어지기 때문에 이익"이라며 "고객도 같은 지주사내 은행, 증권, 보험을 함께 이용할 확률이 높아져 충성도가 올라가게 된다"고 밝혔다. 이 같은 고객 충성도 제고 가능성은 기업금융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주사 소속 은행과 어음관리계좌(CMA)를 트고 있거나 환업무를 하던 기업은 신규상장(IPO)이나 인수.합병(M&A) 업무도 그 지주사 계열 증권사에 맡길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증권사 투자금융업무는 해당 회사의 중요정보를 다루는 만큼 신뢰가 중요하고해당사에 대해 잘 알아야 하는 만큼 같은 지주사 소속 계열사에 맡기는 것이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란 게 금융지주사들의 설명이다. 금융지주사 시대에는 또 금융사가 '법적 실체(Legal Entity)'가 아니라 '사업계열(Business Line)'별로 움직이게 된다. 즉 투자금융과 자산관리, 소매금융 등 각 부문별로 금융지주사측이 팀장을 맡고계열사별 해당부문들이 팀을 이뤄 마치 하나의 금융사처럼 일을 해나간다는 뜻이다. 하나금융연구소측은 "현행법상 법적 실체간 수익 공유 및 배분이 어렵게 돼 있어 당장은 사업계열별 활동을 할 수 없다"며 "그러나 금융지주사 시대가 본격적으로전개되면 차츰 법적 정비가 이뤄지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