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도넘은 네거티브 캠페인

기자의 e메일 함은 각 정당 대변인실에서 보낸 갖가지 논평으로 늘 가득 차고는 한다. 요즘은 그 가운데 나경원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 선거대책위원회에서 보내는 논평이 하루 평균 7~8건 정도인데 온통 상대 후보에 대한 네거티브라는 점이 아쉽다. 나 후보 측 선대위 대변인실은 13일 발표한 논평에서 “박원순 야권 단일후보가 시장이라도 되면 서울시가 ‘참여연대지방정부’가 되지 않을까”라고 주장했다. 같은 날 보낸 다른 논평에서는 유럽 기준으로는 중도우파라 한 박 후보의 발언에 대해 “표를 얻으려 정체성까지 일시 위장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고 비난했다. 12, 13일 이틀간 수신된 나 후보의 논평들 중 정책을 소개하는 것은 없어 안타까웠다. 나 후보 측에서도 하루에 한 분야씩 새로운 정책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좋은 소재인데 그걸 제대로 쓰지 못하는 꼴이니 말이다. ‘네거티브 캠페인’은 선거 전략상 다소 지지율이 떨어지는 후보 쪽에서 이를 만회하기 위해 흔히 쓰인다. 선거판을 혼탁하게 해서 대중의 관심을 떨어뜨리는 한편, 고정 지지층을 결집시키니 투표율이 낮은 보궐선거에는 기막힌 전술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러니 상대적으로 열세인 나 후보 측에서 이를 동원할 거라는 걸 예측 못한 바는 아니었다. 당사자인 나 후보는 “근거 없는 네거티브 공격은 지양해야 하지만 후보의 자질 검증은 필요하다”고 말한다. 공직 후보자에 대한 도덕성 검증 작업은 마땅히 선거 과정에서 거쳐야 할 과정임은 분명하다. 특히 그간 외부 검증의 기회가 없던 박 후보라면 더 그렇다. 나 후보를 무턱대고 탓할 수는 없다. 다만 도가 지나쳤다. 네거티브 공세가 무상급식 등 복지 논쟁 등 정책적 이슈를 가리는 일이 바람직하지는 않아 보인다. 보궐선거를 촉발한 게 무상급식 주민투표였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이젠 네거티브로 선거전의 승기를 잡을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 지난 2007년 17대 대선에서도 이명박 후보의 BBK 의혹 제기에 주로 힘쓰던 당시 여권은 600만표 차이로 졌다. 정책적 비전이 선거를 승리로 이끄는 게 최근 선거의 경향이다. 선거가 끝날 때까지 진흙탕의 모습은 더 이상 보지 않았으면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