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위성 발사성공] '정보대국'도약위한 인프라 마련

무궁화위성 3호는 총 24개의 통신용 중계기와 6개의 고출력 방송용 중계기를 갖고 있다. 이는 초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다채널 위성방송 서비스를 위한 「우주 정보 고속도로」를 뚫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 위성은 특히 지역간 정보화 격차를 줄이는데 일등공신이 될 전망이다. 그동안 정보화의 사각지대였던 농어촌 및 산간오지에서도 수신 장비만 달면 저렴한 요금으로 고속·고품질의 인터넷과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궁화위성 3호는 또 한반도 지역으로 서비스가 국한됐던 1, 2호위성과 달리 서비스 범위를 동남아까지 확대한게 특징이다. 이는 우리나라도 이제 위성 서비스로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시대를 맞게 됐음을 의미한다. 특히 일본문화 개방을 앞두고 있고, 세계적인 위성방송이 안방까지 무분별하게 침투하는 현 시점에서 역으로 우리의 문화를 인접 국가의 안방까지 보낼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우리문화의 확산이라는 의미까지 내포하고 있다. 무궁화위성 3호는 또 제작 과정에서 우리나라 우주항공기술을 한 단계 높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4년간 총 사업비 2억1,600만달러를 들여 개발하는 동안 한국통신, 현대전자 등 5개 국내기업 및 연구소의 기술인력이 제작사인 미 록히드마틴사와 함께 위성체 설계, 제작, 시험 등 전 과정에 공동작업 형태로 참여, 1천600만달러 규모의 위성체 제작 하도급사업을 수행했다. 그러나 이번 무궁화3호의 발사를 앞두고 비판적인 시각도 꾸준히 제기됐다. 통합방송법안이 아직 국회를 통과하지 못해 위성의 효용 자체가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통합방송법이 통과되지 않은 상태에서 위성이 발사되면 위성이 별 쓸모가 없고, 그 경우 불필요한 자원 낭비라는 지적도 많다. 지난 봄 국정감사에서 일부 의원들이 『통합방송법안이 통과되기 전에 무궁화위성 3호의 발사가 강행되면 하루 1억원 이상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통합방송법 처리가 앞으로도 계속 지연될 경우 무궁화위성 3호는 방송에 활용되지 못해 진짜 자원만 낭비하는 반쪽 위성으로 전락할 수 밖에 없다. 그 책임은 이해관계에 얽혀 이도저도 못하고 있는 정부와 각 정당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이균성기자GSLEE@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