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금리인상 태풍권'

FRB 이어 EU 금명 결정, 日등도 가시화
금융시장 요동에 증시 낙폭도 점점 커져
남미·亞기업들 IPO 잇단 취소등 '불똥'


세계 주요 증시의 심리적 지지선이 일제히 무너진 것은 최근 인플레이션 조짐이 뚜렷해지면서 미국ㆍ유럽ㆍ일본 등 주요 국가들의 금리인상이 가시권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번 증시 급락세는 지난 5일(현지시간)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의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있다”는 직설적인 발언이 기폭제로 작용했지만 시간이 갈수록 증시 하락폭을 키우고 경제 전반을 위축시키며 확산되고 있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FRB 주요 관계자들이 잇따라 금리인상을 예고하는 발언을 쏟아내고 금명간 유럽연합(EU)과 일본이 금리를 인상할 것이 확실해지면서 글로벌 증시 약세흐름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와 태국ㆍ터키 등 아시아 국가들이 선제적으로 7~8일 금리인상을 단행한 것은 전주곡에 불과하다는 것. 따라서 당분간 세계 경제가 ‘금리인상 태풍권’에 머무를 전망이다. 금리인상의 충격파는 기업공개(IPO) 시장마저 침체에 빠뜨리고 있다. 7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남미ㆍ아시아ㆍ유럽 기업들이 지난 2~3년 활발하게 진행해오던 IPO를 최근 금융시장 불안과 증시 변동성 확대로 연기하거나 아예 취소하고 있다. 태국 최대 맥주회사인 타이 베버리지는 IPO 규모를 당초 18억싱가포르달러에서 14억싱가포르달러로 크게 줄였으며 싱가포르 선박회사인 퍼시픽 킹 시핑은 지난달 열기로 했던 IPO 자체를 연기했다. 영국계 외환거래 금융회사인 CMC마켓과 시그마캐피털 인베스트먼트, 스탠더드생명보험 등도 시장추이를 좀 더 지켜보겠다며 IPO 개최시기를 미뤘다. 증시급락으로 이코노미스트의 경제 성장률 전망과 기업인들의 체감지수도 빙하기를 맞고 있다. 필라델피아연방은행이 7일 발표한 반기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하반기 경제성장 전망치를 6개월 전의 3.1%에서 2.9%로 낮추며 기존의 낙관론을 거둬들이고 신중론으로 돌아섰다. 반면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2.9%에서 3.3%로 크게 올렸다. 또 미국 기업단체인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에 따르면 미국 최고경영자(CEO)들의 하반기 경제전망지수는 3개월 전보다 3.6포인트 떨어진 98.6으로 내려갔다. 판매가 늘 것이라는 응답은 85%에서 82%로 줄었고 설비투자에 대해서는 48%만 “늘리겠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 파이낸셜타임스(FT) 칼럼니스트인 크리스 질레트는 8일 “인플레이션에 대한 공포가 세계 경제를 다시 무겁게 짓누르고 있다”며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에 대항해 금리인상 가능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