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정부 ‘KGB 코드’ 일색

"정적·언론 탄압등 악습 반복" 비판 목소리 푸틴 정부는 KGB의 확대판? 옛 국가보안위원회(KGB) 출신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00년 정권을 장악한 이후 KGB와 그 후신인 연방보안국(FSB) 출신들이 정부 요직에 대거 등용돼 푸틴 정부가 KGB를 중심으로 한 거대한 이너서클 집단으로 변질되고 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최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소련 붕괴 이후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많은 전직 정보요원 및 비밀경찰들이 주지사, 각료직, 대통령 특사 등 크렘린 곳곳에 퍼져 있다”며 “과거 차르(czar) 시대의 경찰국가가 부활한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라고 전했다. 국책 과학연구기관인 러시아과학아케데미의 조사에 따르면 푸틴 정부의 고위관직에서 이들 전직 요원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4명 중 한명 꼴로,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였던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때의 3%는 물론 전임 보리스 옐친 정부때의 11%에 비해서도 두배 이상 높다. 그러나 이는 공개된 최고위층에 대한 집계일 뿐 부장관 등까지 포함하면 35%에 달한다. 푸틴 대통령은 집권 직후 국내를 담당하는 특사 7명을 새로 임명하면서 이중 5명을 군ㆍ비밀경찰 요원들로 채웠다. 비서실 요원도 70%가 비슷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다. 문제는 이들이 냉전시대 정보기관들이 해 왔던 악습과 병폐를 거리낌없이 되풀이 하고 있다는 점이다. 카네기 모스크바 센터의 정치분석가인 니콜라이 페트로프는 “이들은 KGB의 이상과 방법이 지금의 혼란스런 러시아를 추스리는데 적합하다고 믿고 있다”며 “이것이 그들이 위험한 이유”라고 말했다. 이들은 블라디미르 레닌이 반혁명 및 태업을 막기 위해 설치했던 `비상위원회(체카)`를 본따 스스로를 `체키스트`라고 부를 정도로 노골적이다. FSB출신 장성으로 지난해 러시아 극서지방인 스몰렌스크주 주지사에 당선된 빅토르 마슬로프는 취임 후 주 정부에 대한 비판을 금지했다. 반대하는 언론은 폐간했다. 5월에는 새로 생긴 어용 정부지에 주지사의 사진이 하루에 32장이 실리기도 했다. 정적이던 전 주지사는 부패 등의 혐의로 기소됐다. 러시아 야당들은 “범죄를 척결한다는 명분 아래 이들이 정적과 언론을 탄압하는 수법은 1930년대 요시프 스탈린의 공포정치 때와 유사하다”고 비난하고 있다. 크렘린에서는 푸틴 추종파와 옐친 정부 이후 남아있는 관료들 사이의 권력다툼 때문에 푸틴파에 의한 쿠데타설까지 나돌고 있다. 크렘린의 정치자문역을 맡고 있는 글레브 파블로프스키는 “이들은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는 그들만의 언어를 쓰는 등 은밀한 집단으로 변질되고 있다”며 “범죄 척결의 명분도 이들을 배경으로 한 집단이 득세하면서 무색해 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유석 기자 aquarius@hk.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