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권의 주요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최경환 경제팀의 규제완화 시행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과 소비심리 위축으로 ‘최경환 효과’의 약발이 사라진 탓으로 풀이된다.
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 아파트 36㎡는 최근 급매물이 5억9,500만원에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지지선인 6억원이 무너진 것이다.
이 아파트는 9·1대책 발표 이후 부동산 거래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에 6억2,000만∼6억3,000만원까지 올라갔지만 7월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간 것이다.
42㎡ 역시 지난 9월 7억2,000만원까지 팔리던 것이 현재 6억7,000만원으로 5,000만원이 떨어졌다.
그나마 거래도 제대로 안돼 급매물이 나와도 매수자들이 거들떠 보지 않고 있다.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도 사정은 마찬가지. 이 아파트 112㎡는 9·1대책 발표후 11억5,000만∼11억6,000만원까지 올랐지만 지금은 11억2,000만∼11억3,000만원으로 내려왔다. 이는 DTI·LTV 완화 시점인 7월 말∼8월 초 시세다.
119㎡도 9·1대책후 최고 13억원까지 거래됐으나 현재 12억6,000만∼12억7,000만원으로 떨어졌다.
강동구 둔촌 주공아파트 2단지 53㎡도 지난 9월 5억9,000만∼5억9,500만원에서 최근 5억6,200만원까지 내려갔다.
재건축 아파트값이 이처럼 약세를 보이는 것은 정부의 활성화 대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가격이 단기 급등하면서 부담감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집값이 계속해서 오를 것이라는 확신이 없다 보니 가격 상승에 따른 불안감이 커지는 것이다.
세계경제의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장기화, 국내 주가 폭락 등 대내외 경제 지표가 나빠진 것도 부동산 시장에 악재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9·1부동산 대책의 입법화와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 폐지·분양가 상한제 탄력운영 등 시장 과열기에 도입한 규제 완화 등 후속조치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