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후된 구도심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추진해 온 도심 재개발ㆍ재건축 사업이 전국 곳곳에서 표류하고 있다. 오랜 부동산 경기 침체로 재개발에 따른 사업성이 떨어지자 건설회사들이 사업추진을 기피하고 있어서다.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게 된 해당 지역 주민들이 사업을 포기하겠다고 나서면서 지구지정 해제도 잇따르고 있다.
10일 광주광역시에 따르면 관내 도심재개발이 추진 중인 30곳 가운데 사업 마지막 단계인 관리처분계획 인가가 난 곳은 2곳에 불과하다.
관리처분계획 인가는 해당 지역 주민들의 이주보상과 철거를 진행하는 단계로 해당 지역은 현대산업개발이 시공사인 동구 학동3구역과 SK건설이 추진 중인 서구 마륵치평구역이다.
나머지 구역은 구역 지정이나 조합 설립 단계 등에 머물러 있을 뿐이며 조합이 설립된 곳 가운데 시공업체를 구한 곳도 5곳밖에 되지 않는다.
특히 전남도청 이전 등으로 심각한 도심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는 동구의 경우 14개 지구에서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대부분 사업시행인가 준비단계에 머물러 있을 뿐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대전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대전지역에서 재개발과 재건축을 진행하고 있는 곳은 각각 85곳과 45곳에 이른다. 하지만 대전 원도심 지역의 노른자위 땅으로 불리던 중구 대흥2구역 재개발사업마저 시공업체 선정에 어려움을 겪으며 사업시행인가가 취소될 정도로 지구마다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구광역시도 정비사업대상 261곳 가운데 72곳에서 사업을 시작도 못하고 있다. 사업인가가 난 22개 사업장 중에서 관리처분계획인가가 이뤄진 곳은 대신2-1, 대봉1-1, 새길지구 등 11개 사업장에 그친다.
부산지역 역시 사업추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방치된 구역만 84곳에 이른다. 이들 대부분은 정비구역으로 지정되거나 조합설립, 사업시행승인을 얻고도 장기간 답보상태에 놓여 있다.
이처럼 도심 재생사업이 곳곳에서 표류하는 원인은 오랜 부동산 경기 침체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업시행자인 조합은 경기침체로 사업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다 건설사들이 사업참여를 꺼리면서 시공사 선정조차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공업체로 참여키로 한 건설사마저도 계약만 체결한 채 이런저런 이유를 들어 사업추진을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지어놓은 아파트도 분양이 되지 않은 터라 재개발에 선뜻 뛰어들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대전지역 한 건설사 관계자는 "도심 재개발 사업은 아무리 고민을 해봐도 사업성이 나오지 않는다"며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 쉽사리 사업에 뛰어들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재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하면서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는 지구 거주민들의 불편은 가중되고 있다. 광주 동구의 한 주민은 "주변 활성화를 기대해 재개발사업을 환영했지만 지금에 와서는 후회만 들 뿐이다"고 하소연했다.
전반적으로 재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하면서 지구지정을 최소하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인천시는 도시정비사업이 수년간 지지부진하자 정비예정구역 212곳 가운데 144곳에 대해 '대수술'에 들어가기도 했다. 인천시는 지난해 12월 전국 최초로 재개발·재건축 예정구역 가운데 11곳을 직권해제한 것이다. 부산시 역시 43곳의 지구지정 해제를 추진하고 있다.
전국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