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상업용 빌딩 투자수익률 ‘뚝’

오피스 1.83%, 전분기 대비 0.6%P 하락

부동산 경기침체 여파로 지난 2ㆍ4분기 상업용 빌딩의 투자수익률이 1ㆍ4분기 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서울 및 6개 광역시의 오피스 빌딩 500동과 매장용 빌딩 1,000동의 2ㆍ4분기 투자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오피스 빌딩은 1.83%로 1분기 대비 0.6%포인트, 매장용 빌딩은 1.71%로 0.53%포인트 하락했다고 30일 밝혔다. 오피스 빌딩의 수익률은 인천이 2.1%로 전 분기 대비 0.9%포인트 증가해 가장 높았고 서울은 0.93%포인트 떨어진 2.08%를 기록했다. 광주(0.44%), 울산(0.66%), 대구(0.88%)는 1%에도 미치지 못하는 낮은 수익률을 보였다. 매장용 빌딩의 투자수익률은 대전(2.24%)이 1위, 울산(0.83%)이 꼴찌였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주택시장 침체, 투자 심리 위축, 아파트형 공장 증가, 리츠 신규 설립 부진 등이 겹쳐 자산가치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은 3분기째 변함이 없었다. 거시경제 회복에 따른 신설법인 증가 등으로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2분기 모두 각각 9.4%를 유지했다. 매장용 빌딩은 지난해 1분기의 11.4%를 정점으로 하락 추세가 5분기째 이어져 올해 2분기 10.3%까지 떨어졌다.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은 서울 7.4%, 부산 9.7%, 대구 7.3%, 인천 14.2%, 광주 15.2%, 대전 26.6%, 울산 25% 등으로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임대료는 오피스 빌딩이 ㎡당 평균 1만5,400원으로 전 분기와 같았고, 공실률이 떨어지는 매장용 빌딩은 4만1,600원으로 400원 올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