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등 유휴인력 133만명…여성비율 남성의 2배청년층 가운데 실업자 또는 정규교육을 마친 뒤 교육훈련을 받지 않으면서 무직 상태에 놓여있는 유휴인력 규모가 133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동연구원 이병희 연구위원이 지난 6월말 현재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를 토대로 '청년층 노동시장의 구조변화'를 분석해 18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가운데 실업자가 24만2,000명, 교육훈련을 받지 않고 무직 상태(비통학 비경제활동 인구)로 남아있는 사람이 108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따라서 전체 청년층 유휴인력 규모는 학교 졸업ㆍ중퇴자의 25.4%인 132만9,000명에 달해 학교를 마치고도 4명 가운데 1명이 '놀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의 유휴인력 비율이 31.8%(96만명)로 남성의 16.7%(36만9,000명)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았다. 특히 20대 후반 여성의 경우 육아, 가사 등의 이유로 유휴화 비율이 41%에 달했다.
고졸 유휴인력 규모는 실업자 10만8,000명, 비통학ㆍ비경제활동 인구 64만명 등 모두 74만8,000명(유휴인력 비율 28%)으로 전체 청년층 유휴인력의 56.3%를 차지했다.
이밖에 학력별 유휴인력 비율은 대졸이상 20.9%, 전문대졸 19.6%, 중졸이하 40.9% 였다.
실업자를 제외한 유휴인력의 상태를 보면 여성의 경우 육아 51.9%, 가사 36%,취직준비 4%, 진학준비 1.7% 순이었고, 남성의 경우 취직준비 23.9%, 가사 14.3%, 군입대 대기 8.7%, 진학준비 8% 순이었다.
이와 함께 고용보험 DB를 이용해 지난 95년부터 지난해까지 종업원 300명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청년층 일자리의 구조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구조조정의 상시화로 전체 일자리가 감소하는 가운데 대규모 업체를 중심으로 청년층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진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대상 기업 근로자중 청년층 비율은 지난 96년 43.5%에서 97년 42.3%, 98년38.8%, 99년 36.4%, 2000년 35.4%, 2001년 32.2%로 지속적으로 줄어 지난 5년간 10%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청년층 채용 추이를 보면 지난 97년에는 학교나 직업훈련을 마친 뒤 신규로 채용되는 비율이 63.1%, 자영업을 포함해 노동시장 경험이 있는 경력 채용비율이 29.2%였으나 지난해에는 각각 22.1%, 62.3%로 역전됐다.
오철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