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양적완화 정책 종료와 금리인상 시점이 다가오면서 달러 강세와 함께 신흥 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주가는 하락하고 원·달러 환율은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은 한편으로 수출기업에는 유리하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순환적 요인이므로 어렵더라도 기다리면 된다. 반면에 구조적 변화는 기다린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지금 우리나라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춰야 할 때다. 몇 가지 지표가 이를 보여준다.
첫째, 기업의 당기순이익 수치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30대 그룹에서 상위 5대 그룹의 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략 65%였는데 이것이 점차 상승해 지난 2011년에 70%를 넘었다가 작년에는 무려 105%에 육박했다. 나머지 25대 그룹은 적자였다는 뜻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30대 그룹의 이익은 40조원대였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70조원대까지 증가했으나 25대 그룹은 작년에 적자를 봤던 것이다.
원화가 강세를 보인 탓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제조업을 위협하는 경쟁자가 많아졌다. 중국뿐 아니라 일본·독일·미국이 모두 제조업 경쟁자로 올라섰다. 향후 수출에서 품질경쟁력을 가진 5대 그룹이 어느 정도까지 경쟁우위를 지속할지 시험대에 올라설 것이다.
둘째, 경상수지 흑자폭이다. 2012년부터 500억달러로 증가하다가 2013년에 800억달러로 껑충 뛰어올랐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흑자 비율이 6%에 이른다. 2014년도 800억달러 이상의 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 따른 원·달러 환율 상승과 유가 하락이 정상화돼 환율도 하락하고 유가도 상승한 2012년 이후 경상수지 흑자폭이 더욱 커진다는 점이 수상쩍다. 일본과 대만처럼 구조적인 경상수지 흑자에 접어드는 것이 아닌가 한다. 이것은 국내 수요의 만성적 부족을 의미한다. 문제는 경상수지 흑자로 환율이 절상되면서 기업경쟁력이 약화된다는 점이다.
셋째, 인구구조 지표다. 경제에 대한 인구구조의 부정적 영향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오히려 경제의 주축이 되는 40~50대 인구가 2000년 1,100만명에서 2010년 1,500만명으로 400만명이나 증가하는 등 지금까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생산가능 인구를 보면 2010년 73%에서 2020년에 71%로 2%포인트 정도 줄고 오는 2030년에는 63%로 10년 동안 무려 8%포인트나 줄어든다.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10년 11%에서 2020년에는 16%, 2030년에는 24%로 계속 증가한다. 이제는 인구구조의 긍정적인 모멘텀이 사라지는 영향을 받기 시작할 것이고 5년 정도 후에는 아예 부정적인 모멘텀에 오래도록 노출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