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대통령 하기' 힘든 나라


대한민국은 '대통령 하기'힘든 나라다. 홍수가 생겨도 대통령이 욕먹고 가뭄이 들어도 규제가 생겨도 살림살이가 힘들어져도 모두 대통령 책임이다. 북한과 긴장구도에 따라 예기치 못한 안보 문제가 발생하면 소방수와 중재자 역할을 자임해야 하는 것도 대통령의 책무다. 불황의 터널을 헤쳐나가 국민에 풍성한 먹거리를 제공해주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그만큼 '대통령 하기'가 만만치 않다.

특히 계사년(癸巳年)에 출항하는 새 정부의 어깨는 무겁기만 하다. 새해 한국사회는 어느 때보다 거친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도 풀기 어려운 과제는 우리 내부에 있다. 특히 사회 구석구석에 자리잡고 있는 분열과 갈등이 문제다. 이번 대선을 치르면서도 한국사회는 고질적인 지역 갈등과 이념, 세대갈등 등 다양한 갈등이 외부로 고스란히 노출되고 서로에게 생채기를 남겼다.

대선 당시 당선인을 지지했던 51.6%의 유권자뿐 아니라 나머지 48%의 국민 역시 보듬어 안고 함께 발을 맞춰나가는 것이 새 대통령의 가장 큰 선결과제다.

다행히 당선인은 선거 기간은 물론 당선 이후에도 한결같이 새 정부의 첫 번째 화두로 '대통합' '대탕평' '100% 대한민국'을 외치고 있다. 최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도 호남 출신을 대거 발탁하며 대통합을 위한 첫걸음을 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집권 초기 세대와 지역 갈등을 통합하려는 새 정부의 노력 여하에 따라 정권의 성패가 갈린다.

실제 집권 초반 비지지층과 대립각을 세운 역대 정권은 집권 내내 정국 운영의 주도권을 쥐지 못한 채 집권 5년 내내 흔들려야 했다. 이명박 정부는 출범 직후 국정 운영 지지율이 57.4%로 과반 이상을 차지했지만 집권 1년 만에 32%로 오그라든 후 현재는 20%대 초반 선에 머물고 있다. 현 정부 역시 세대ㆍ이념 갈등의 깊은 골을 안고 출발했다는 점에서 '박근혜 시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해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전국 각지, 골목골목에 베어 있는 민심을 읽고 국민과 소통하는 정부로 거듭난다면 국민모두가 희망을 갖고 미래를 긍정하는 사회로 발전할 것이라 믿는다. 과거 정부의 시행착오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통합과 희망의 아이콘으로 거듭나기를 당부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