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이 30일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것을 두고 채권단은 "어쩔 수 없는 결과"라는 반응을 보였다.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개선)을 시작한 지 6개월이 되도록 경영상태가 좀처럼 개선되지 않은데다 최근에는 추가 자금지원도 쉽지 않았다. 더욱이 자금을 지원할 경우 배임의 소지도 커 결국 법정관리로 갈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채권단 관계자는 "쌍용건설에 대한 지원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꼴이었다. 지원이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최근 회계법인의 실사 결과 쌍용건설에는 3,800억~5,000억원의 추가 출자전환과 3,000억원의 추가 자금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왔다. 이미 2,450억원의 출자전환이 이뤄진 것까지 포함하면 1조원을 훌쩍 넘는 어마어마한 자금이 들어가야 했다. 채권단으로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쌍용건설 스스로 법정관리를 신청하도록 기다린 셈이기도 하다.
채권단 내에서는 "홀가분하다"는 반응도 나왔다. 이번 워크아웃이 채권단의 의지보다는 정치적인 고려와 당국의 '팔목 비틀기'로 강행됐다는 방증이다. 다른 채권은행 관계자는 "솔직히 바라는 바였다"며 "금융위원회나 청와대에서 (법정관리를) 원하지 않아 난감했는데 잘됐다"고 말했다.
쌍용건설의 법정관리로 채권단은 6,800억원이 동결된다. 이 가운데 3,200억원은 상환이 불투명한 무담보채권이다.
채권단은 다만 쌍용건설의 법정관리가 개시될 경우 적극적으로 기업회생을 돕겠다고 약속했다.
우리은행은 "협력업체 연쇄도산을 막고 해외사업장 완공을 위해 법정관리 조기 졸업을 추진하고 필요한 지원은 채권단의 적극적인 동참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B2B 채권) 등 협력업체의 거래은행에 할인어음의 대환 등 유동성 지원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해외사업장에 대해서는 회사가 발주처와 적극적으로 협상하도록 하고 채권단의 추가 지원이 필요하면 법원의 허가를 받아 지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