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린우리당 김혁규(오른쪽) 최고위원과 조배숙 최고위원이 4일 오후 서울 영등포당사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5·31 지방선거참패의 책임을 지고 최고위원직을 사퇴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오대근기자 |
|
5ㆍ31 지방선거 참패 후폭풍에 따른 열린우리당 내 균열조짐이 본격화되고 있다.
후속지도체제 문제를 둘러싸고 당내 각 계파가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정동영 전 의장의 사퇴에 따른 ‘힘의 공백’이 후속지도체제 문제를 둘러싼 갈등 속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4일 친정동영계로 분류되는 김혁규ㆍ조배숙 최고위원이 사퇴함으로써 김근태 최고위원으로 가닥을 잡아가던 후속지도체제 문제가 원점으로 돌아가 임시과도체제로 전환이 불가피해졌다.
당헌ㆍ당규에 따르면 최고위원 과반수가 사퇴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최고위원단은 해체되고 새로운 지도부 선출을 위한 과도임시체제로 전환하게 돼 있다. 두 최고위원의 사퇴는 정 전의장이 지난 1일 사퇴 전 김근태 최고위원이 의장직을 승계하도록 짜놓은 후속대책 ‘밑그림’과도 전혀 다르고 또 전날의 당내ㆍ중진모임의 결정과도 반하는 것이다. 김근태 최고위원은 지난 2월 전당대회에서 정동영 전 의장에 이어 차점 득표를 해 그의 의장직 승계는 당헌ㆍ당규에 따른 순리적인 것이다.
그리고 전직 당 의장 등 원로그룹은 지난 3일 저녁 여의도 모처에서 논의를 마치고 후속 지도체제 문제와 관련, “남은 지도부가 당내 상황을 수습해야 한다”며 사실상 김근태 최고위원을 중심으로 한 후속 지도체제가 당을 수습할 것을 주문했다.
여기에 당내 갈등의 주요 축으로 지목된 김두관 최고위원은 4일 오전 “당내 갈등을 증폭시켜 송구하다”며 사과발언까지 해 후속지도체제 문제는 수급국면을 밟는 듯했다.
이런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김혁규ㆍ조배숙 최고위원이 물러나 지도체제를 둘러싼 당내 갈등이 다시 일고 있다.
특히 김ㆍ조 최고위원은 정동영(DY) 전 의장 계파로 지방선거 전까지만 해도 여권에서 가장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로 꼽혔던 정 전 의장의 뜻이 계파 소속 의원들에게도 통하지 않게 된 것이다.
친노(親盧) 세력 내부의 균열 조짐도 감지되고 있다. ‘참정연’이라는 울타리에서 동거했던 김두관 최고위원과 개혁당파세력은 사이가 벌어지는 듯한 모습이다. 선거직전 김 최고위원의 지도부 비판발언에 대해 불편한 표정을 감추지 않았던 참정연은 김 최고위원의 거취 문제가 당의 후속 지도체제 논의 과정에서 최대쟁점으로 떠오르자 거취표명까지 요구했다.
참정연은 조만간 정기회원 총회를 열고 지도부를 교체할 것으로 알려졌다.
열린우리당 내 각 계파간의 분열조짐은 앞으로 후속지도체제와 이와 연관된 고건 전 총리 등 유력 대선주자들의 움직임과도 맞물리면서 복잡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