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보증 기능 중복 수차례 제기 신보-기보 통합 또 고개

금융위, 중소기업금융에 메스
"미세 부분 기능 조정 기능성"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실물위기가 확산되기 전에 중소기업금융에 대해 메스를 들이대기로 하자 중기금융의 최전방에 있는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의 기능 재편에 대한 관심이 촉발되고 있다. 중기금융의 전면적인 혁신을 위해서는 신보와 기보의 역할 재정립을 빼놓을 수 없고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등의 대출보증을 놓고 기능중복의 문제가 줄기차게 제기됐던 만큼 어떤 식이든 논의가 이뤄지지 않겠냐는 게 금융감독 당국 안팎의 분석이다. 다만 서슬 퍼랬던 이명박 정부 초기에도 통합을 추진했지만 지역에 기반을 둔 정치권의 반발로 무산된 것을 감안할 때 이번에는 큰 틀보다는 미세한 부분의 기능조정이 진행되지 않겠냐는 분석이다. 25일 금융감독 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내년 초까지 중소기업 금융전반에 대해 개선 방향을 담은 '중소기업 금융환경 혁신대책'을 마련해 내년 업무보고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여기에는 정책금융공사ㆍ기업은행ㆍ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의 금융공급 시스템점검 등 다섯 가지 항목도 구체적으로 포함될 예정이다. 특히 신보ㆍ기보ㆍ지역신보 등 신용보증기관의 지원 방식이나 형태를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당국의 움직임은 눈길을 끄는 부문이다. 신보와 기보는 기본적으로 대출이 필요한 기업에 보증을 서는 보증기관으로 중소기업 금융의 마중물 역할을 하는 곳이다. 지난 8월 현재 보증잔액도 두 곳을 합치면 무려 75조원에 이를 정도다. 하지만 그동안 두 기관의 기능이 중복되고 차별성어 없어 통폐합의 필요성이 수차례 제기돼왔다. 장기적으로는 기보와 신보 등 비슷한 정책 금융기관들의 구조개편을 이뤄야 한다는 것이다. 한 국책연구원 관계자는 "정책 금융기관에서 정치논리가 경제논리보다 앞서는 경우가 많다"면서 "두 개 조직을 하나의 지주사 형태로 묶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구체적인 방안까지 제시하기도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모든 것을 훑어보겠다는 것이고 중소기업이나 유관기관 등 밑으로부터의 의견을 수렴해 최선의 방안을 찾겠다는 게 현재의 방안"이라면서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많이 듣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입장을 나타냈다. 이 관계자는 다만 "기능의 재조정 문제 등도 검토할 수 있고 해결할 수 있는 범위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면서 "보증이라고 하더라도 마지막 부담은 중소기업이 지는 것인 만큼 효율적인 집행이 이뤄지도록 최소한의 기능조정은 해야 하지 않겠냐"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