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주도 성수재개발' 뜨거운 관심

투자 문의 급증에 지분 급매물도 빠르게 소화
12~13㎡ 소형은 호가 3.3㎡당 1억원 웃돌아
"고층 아파트와 묶어 개발땐 사업성 저하" 지적도

초고층 재건축이 추진중인 서울 성수재개발구역 일대가 공공주도 시범사업지로 선정되면서 투자 문의가 급증하고 지분 가격도 뛰고 있다. 서울시가 절차 단축 등을 통해 조합원의 부담금을 수 천만원까지 낮추겠다고 공언하면서 수익성이 좋아질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2일 성동구 일대 공인중개사들에 따르면 성수재개발구역의 대지지분 가격은 6월 중순에 비해 10~20%가량 올랐으며 급매물도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성수동 S공인중개사 관계자는 “한강르네상스 계획이 발표된 이후 거래건수 및 가격이 꾸준히 올라가다 지난 6월 들어 거래가 주춤해졌는데 최근 거래가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며 “아파트 가격은 최근 1~2주 사이 2,000만~3,000만원 가량 올랐으며 빌라 등 대지 지분 가격도 한달 전에 비해 10~20% 가량 상승했다”고 말했다. 현재 33㎡미만의 소형 지분 가격은 3.3㎡당 5,000만~6,000만원을 호가하고 있으며 12~13㎡ 미만의 초소형 지분은 호가가 3.3㎡당 1억원 이상까지 치솟았다. 대지지분이 60~90㎡에 이르는 대형 지분은 3.3㎡당 가격이 2,500만~3,000만원 수준이다. 특히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두드러진다. 서울시가 올 초 성수동 일대를 ‘한강 르네상스’의 전략정비구역으로 지정하면서 입주한지 15년 안팎의 ‘멀쩡한’ 아파트들까지 재개발 대상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지난 93년에 입주한 청구한신 122㎡형은 지난해 말 평균 5억4,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최근엔 6억원 선으로 올랐고 99년에 입주한 한신한강 109㎡형도 비슷한 폭으로 올랐다. 또 입주한 지 8년밖에 안된 성수동동양 105㎡형도 재개발 기대감에 지난해 말 5억7,500만원에서 6억2,500만원으로 가격이 뛰었다. 이 일대 지분 가격도 단기간 급등했지만 빌라 및 연립주택에 살고있는 토지 등의 소유자들은 고층 아파트도 묶어서 개발할 경우 사업성이 떨어진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 주민은 “대지지분이 30㎡ 안팎에 불과한 고층 아파트 수백~수천 가구를 저층 단지와 묶어서 개발하게 되면 사업성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며 “입주한 지 10년도 안된 아파트를 부수고 다시 짓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발했다. 또 최근의 아파트 가격 급등세에 대해 너무 과도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기존 110㎡형 아파트에 살고 있는 사람이 재개발 후 신축된 110㎡형에 들어가려고 해도 추가 분담금 납부가 예상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면 총 부담금은 현재 매매가보다 비싸지기 때문이다. 인근의 한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대지지분이 적은 아파트 주민들이 기존 면적을 그대로 받으려 한다면 기존 뉴타운 수준의 용적률로는 사업성이 불투명하다”며 “공공관리자 도입 여부보다 사업성 분석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