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가계고통 역대 세번째 악화, 내년엔 고용·물가 등 더 '깜깜'

우울한 새해 경기 전망
서민들 삶도 갈수록 팍팍
유럽위기 최고조… 경제 영향 클듯


'올해는 좀 더 나은 삶이 되지 않겠나' 하는 기대로 시작했던 2011년 역시 서민들에게는 고통만 커진 한 해였다. 실질임금이 줄어들고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이 크게 높아지면서 가계가 느끼는 고통(가계고통) 정도가 역대 세 번째로 심해졌다. 더구나 내년 경기 전망은 올해보다 더 나쁘다. 고용 사정도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서민들에게는 이래저래 우울한 세밑이다. 28일 한국은행과 고용노동부ㆍ통계청 등의 자료를 종합해보면 올 들어 9월까지 실질임금 증가율은 -3.49%다. 역대 세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실질임금 증가율은 외환위기 때인 지난 1998년 -9.31%로 가장 낮았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에는 -8.54%로 떨어졌다. 하지만 다른 해의 실질임금 증가율은 0.98(2001년)∼8.16%(2002년)다. 외환ㆍ금융위기를 제외하면 실질임금은 모두 올랐다는 뜻이다. 실질임금 하락으로 올해 10월까지 경제고통지수는 7.5에 달했다. 카드 대란 직후인 2001년이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실업률을 더해 국민이 체감하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한 지표다. 올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4.0(%)과 실업률 3.5(%)를 더해 산출했다. 경제고통지수가 가장 높았던 해인 2001년에는 8.1(물가 4.1+실업률 4.0)이었다. 이후 2008년에는 7.9(물가 4.7+실업률 3.2)로 두 번째였으며 올해는 7.5로 세 번째로 높다. 이처럼 가계고통지수가 증가한 가장 큰 요인은 가파르게 오른 물가 탓이다. 실질임금 증가율과 가계고통지수 모두 소비자물가지수를 기본으로 산출하기 때문에 물가가 잡히지 않으면 가계의 체감고통도 낮아지지 않는다는 얘기다. 문제는 가계고통이 내년에는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세계 경기가 둔화하면서 물가상승률이 진정되지 않거나 실업률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올 들어 10월까지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20%를 넘어섰다. 정부, 한은, 각종 연구소는 이미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당초 예상보다 낮췄다. 특히 내년 상반기는 유럽의 재정ㆍ금융위기가 정점에 달할 것으로 전망돼 실물경제에 미치는 악영향도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정부는 예측하고 있다. 추가경정예산을 상반기에 편성, 재정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동시에 실물악화에 대비한 금융정책을 강화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조사(CSI)에서도 가계수입전망CSI가 전월보다 3포인트 떨어진 95를 기록했다. 6개월 내 수입이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본 소비자가 줄었다는 의미인데 가계 역시 내년의 살림살이가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 것이다. 한국갤럽이 국내 만 19세 이상 남녀 1,6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난다. 내년 살림살이가 더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28%)이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18%)보다 우세했다. 살림살이가 나빠질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좋아질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앞지른 것은 3년 만에 처음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