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기업은행장의 구도가 다시 미궁으로 빠져들었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조준희 현 행장의 연임 가능성이 희박한 반면 모피아(옛 재무부 출신 관료) 출신 낙하산이 내려올 것이 확실시됐는데 최근 며칠 사이 연임 가능성이 다시 대두되면서 '반반의 가능성'으로 바뀐 것이다.
이 같은 구도 변화에는 모파아들이 최근 금융회사 곳곳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독식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8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최근 3명의 차기 기업은행장 후보 리스트를 청와대에 보고했다. 기업은행장은 금융위원장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청와대는 3명의 후보군에 대한 검증을 이번주 내로 끝내고 차기 기업은행장을 선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조 행장의 임기는 이달 27일까지다. 당초 유력 후보로 알려졌던 김광수 전 금융정보분석원장은 금융위 내부의 1급 자리로 사실상 굳어졌다. 관료들 사이에서도 김 전 원장의 '명예'를 위해서도 공직에 좀 더 이바지하는 것이 낫다는 평가가 많았다. 김 전 원장은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의 오른팔로 '준비된 장관감'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김 전 원장이 내부 자리로 돌아섬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인사 숨통 차원에서 다양한 그림을 그려왔다. 최종구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을 기업은행에 보내고 대신 금융위 1급 출신을 보내는 방안과 허경욱 전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대사 등 전직 고위관료들을 배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양하게 나왔다. 이 속에서 기재부 현직 고위 관료를 기업은행으로 보내면서 기재부와 금융위 전체 그림 속에서 인사 숨통을 트게 하는 방안도 강구됐다.
하지만 모피아들의 과도한 자리 챙기기가 도마 위에 오르고 조 행장의 경영 실적이 워낙 좋았던 것에 대한 동정심이 부상하면서 인사 구도가 바뀌고 있다.
모피아는 최근까지도 홍영만(자산관리공사), 유재훈(한국예탁결제원) 등이 금융 공기업 최고경영자(CEO)로 줄줄이 취임했다. 국민은행 비리에서 촉발된 낙하산 부작용 논란도 부담이 됐다. 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국민은행 논란을 놓고 "낙하산 인사와 모피아 인맥에 따른 부작용의 결과"라고 비판했다. 금융계 핵심관계자는 "고위 경제관료 쪽으로 기울었던 무게추가 제자리로 돌아가면서 조 행장의 연임 가능성과 팽팽히 맞서는 상황"이라고 말했다.